전체 글 10410

[20251017]안양(安養) 지명 유물이 출토된 천년문화공간

[공간]중초사지-안양사지-천년역사관2025.10.16/ #도시기록 #안양 #안양유원지 #안양예술공원 #중초사지 #안양사지 #유유부지 #김중업/ 이 공간은 827년(통일신라) 중초사 900년(고려) 안양사, 1959-2006 유유제약(김중업 설계)이 존재했던 곳으로 안양시가 2017년 매입하여 2014 김중업박물관(유유 공장동), 2017 안양박물관(유유 사무동)을 개관한 천년 안양역사의 보물창고이다. 1950년대 산업건축물 안양박물관으로 재탄생 '통일신라 중초사' '고려 안양사' '근대 제약공장' 으로 맥 잇는 문화의 보고 통일신라 '중초사(中初寺)'이래 고려 '안양사'가 조선까지 불맥을 이어간 사찰지위에 한국 건축계의 거장 고 김중업씨가 설계해 1959년 5월 건립한 제약공장 건물이 리모델링 공사를..

[20251017]안양박물관 파이오니아상(국전 작가 박종배 작품)

2025.10.16/ #미술품 #안양 #조각 #안양박물관/ 엣 유유제약 공장동(현안양박물관) 건물 외벽 모서리에 자리한 파이오니아 조각품. 국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바 있는 조각가 박종배씨의 작품이다.중초사지, 안양사지, ㈜유유 안양공장 부지에 자리한 사무동(김중업건축박물관)과 공장동(안양박물관) 건물은 한국의 손꼽히는 건축가 김중업(金重業,1922∼1988)의 초기작품이자 50년대를 대표하는 산업건축물로 어려운 시대에 공장에 예술을 가미해 건축했다는 것은 높은 안목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평가받고 있다.특히 사무동 지붕은 역보로 되어 있고 생산동은 캔트리버로 형성 삼성천의 시야를 확보하고자 하는 디자인 요소가 가미된 건축학적으로 의미있는 건물이며 공장입구에 자리한 2층 원형으로 된 수위실 역시 톡..

[최병렬]점차 잊혀져간 1970년대 아이들의 놀이 문화

1970년대에는 놀이기구가 거의 없었다. 개인적인 놀이기구는 나뭇가지로 만든 새총, 덮치기 등이고 여러 또래가 함께할 수 있는 자치기, 구슬치기, 비석치기, 딱지치기, 공기놀이. 팽이놀이, 고무줄놀이, 술래잡기, 말뚝박기, 닭싸움, 땅따먹기, 쎄쎄쎄,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연날리기, 가위생, 다방구, 얼음 땡, 계급장 등과 나무로 만든 칼싸움등이 고작이었고, 겨울철에는 나무와 철사로 썰메를 만들어 논에 물을 덴 임시 스케이트장에서 놀던 것이 전부였다. 도구 없이 맨땅에 선을 그어 노는 가위생 놀이는 다양했다. 십자,팔자,오징어 게임 등여자아이이 공기놀이, 고무줄놀이를 많이 했다면 남자아이들은 말타기, 닭싸움, 돼지불알 게임을 많이했다 1970년 중후반으로 가면서 경제적으로 살만해지자 축구공이 등장했다...

[20251015]안양~전남 광주행 고속버스 하루 3회 운행 시작

2025.10.15/ #고속버스 #안양 #광주 #금호고속 안양에서 전남 광주횅 고속버스가 15일부터 운행을 시작한다. 금호고속에 따르면 안양~광주 노선은 주중과 주말 각각 하루 3회씩 프리미엄 등급의 고급 고속버스를 운행한다. 안양 출발은 주중 오전 8시 10분, 오후 1시 40분, 오후 7시 40분이며, 주말은 오전 7시 40분, 낮 12시 50분, 오후 7시 40분이다. 수원을 경유하며 소요 시간은 약 4시간 5분이다. 광주 출발은 주중 오전 7시 20분, 오후 1시 30분, 오후 7시이며, 주말에는 오전 6시 50분, 오후 1시 30분, 오후 6시 30분이다. 운임은 안양~광주 4만1천900원이며, 고속버스 티머니 또는 ‘티머니 Go’ 앱을 통해 예매할 수 있다.

안양지역뉴스 2025.10.15

[20251015]안·군·의 우리동네 햇빛발전소 현장 탐방

[참여신청] 우리동네 햇빛발전소 현장탐방 안양군포의왕시민햇빛발전사회적협동조합에서 조합원 및 시민과 함께하는 햇빛발전소 현장탐방 교육을 실시합니다. ▶ 일시 : 2025년 10월 14, 21, 28일, 14:00~16:30* 매주 화요일 / 회차별 안양·군포·의왕 지역별 햇빛발전소 탐방▶ 장소 : 조합 교육장 집합 후 다같이 이동 (안양시 만안구 성결대학로 22 401호) ▶ 참석대상 : 조합원 및 태양광 발전 재생에너지에 관심있는 시민 누구나▶ 문의 : ☎ 031-469-9035 신청하기 :https://forms.gle/tBbz9Hn6YHDaeNRXA

[20251014]1956년 수도영화사 안양촬영소 정초식 & 상량식

2025.10.14/ #아카이브 #옛사진 #안양 #since1956/ 1956년 10월 17일 시흥군 안양읍 석수동(현 석수현대아파트 자리)에서 열린 수도영화사(대표 홍찬) 안양촬영소 정초식 및 상량식 현장. 촬영감독 김학성 컬렉션 속 여러 장에 걸쳐 발견되는 일련의 사진들에는 수도영화사 사장 홍찬과 현제명 박사, 문학가 박계주와 조경희, 시나리오 작가 유한철과 이진섭, 영화평론가 임영과 허백년, 스틸 작가 백영호, 감독 한형모, 배우 이민과 유계선 등의 인물들이 포착되어 있다. 생전 이 사진을 소중히 보관하고 있었던 촬영감독 김학성의 모습 역시 박혀있다. 한국영상자료원 기록 https://www.kmdb.or.kr/story/836/8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