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290

[20250317]1910년 실측한국신지도 속 안양(安陽)역 한자 표기

2025.03.17/ #아카이브 #옛지도 #경부철도 #since1910/ 일제강점기 당시인 명치 43년(1910년) 발행한 . 경부선 철도의 안양역 한자 표기가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으로 되어있다. 안양 밑으로 군포장 표기도 보인다.  안양 한자 표기인 安養(편안할안에 기를양)과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은 조선시대부터 지도와 문서에 따라 혼용 표기 사용됐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지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일제감점기인 1905-1910년 발행된 근현대 지도를 살펴보면 安養과 安陽이 오락가락하며 표기되는데 1910년대 이전 발행한 지도에는 대부분 한자 표기를 볕양으로 명시한 安陽으로 표기했으며 1915년부터는 기를양으로 명시한 安養으로 바뀌었다. 발행년도 : 일제강점기 명치 43년 5월 10일(19..

[20250317]1910년 조선약도 속 안양(安養)역 한자 표기

2025.03.17/ #아카이브 #옛지도 #경부철도 #since1910/ 일제강점기 당시인 1910년 발행한 신판도조선약도.경부선 철도의 안양역 한자 표기가 安養(편안할 안에 기를양)으로 되어있다.  안양 아래 군포장(軍浦場)도 표기돼 있다.옛지도와 고문서들을 보면 안양 한자 표기인 安養(편안할안에 기를양)과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은 조선시대부터 지도와 문서에 따라 혼용 표기 사용됐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지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일제감점기인 1905-1910년 발행된 근현대 지도를 살펴보면 安養과 安陽이 오락가락하며 표기되는데 1910년대 이전 발행한 지도에는 대부분 한자 표기를 볕양으로 명시한 安陽으로 표기했으며 1915년 이후부터 기를양으로 명시한 安養으로 바뀌었다. 지도 발행일이 명치 4..

[20250317]1922년 조선여행 팜플렛 안양(安養)역 한자 표기

2025.03.17/ #아카이브 #옛지도 #경부철도 #since1920-30/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1922년 발행한 조선안내 팜플렛에 수록된 조선지도. 경부선 철도의 안양역 한자 표기가 安養(편안할 안에 기를양)으로 되어있으며 안양 아래 군포장(軍浦場)도 표기돼 있다 옛지도와 고문서들을 보면 안양 한자 표기인 安養(편안할안에 기를양)과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은 조선시대부터 지도와 문서에 따라 혼용 표기 사용됐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지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일제감점기인 1905-1910년 발행된 근현대 지도를 살펴보면 安養과 安陽이 오락가락하며 표기되는데 1910년대 이전 발행한 지도에는 대부분 한자 표기를 볕양으로 명시한 安陽으로 표기했으며 1912년 이후부터는 기를양으로 명시한 安養으로 ..

[20250317]1926년 조선여행 팜플렛 안양(安養)역 한자 표기

2025.03.17/ #아카이브 #옛지도 #경부철도 #since1926/ 일제강점기 당시인 1926년 발행한 조선여행안내 팜플렛. 경부선 철도의 안양역 한자 표기가 安養(편안할 안에 기를양)으로 되어있으며 안양 아래 군포장(軍浦場)도 표기돼 있다 옛지도와 고문서들을 보면 안양 한자 표기인 安養(편안할안에 기를양)과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은 조선시대부터 지도와 문서에 따라 혼용 표기 사용됐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지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일제감점기인 1905-1910년 발행된 근현대 지도를 살펴보면 安養과 安陽이 오락가락하며 표기되는데 1910년대 이전 발행한 지도에는 대부분 한자 표기를 볕양으로 명시한 安陽으로 표기했으며 1912년 이후부터는 기를양으로 명시한 安養으로 바뀌었다. 발행년도 : 일..

[20250317]1929년 조선여행 팜플렛 안양(安養)역 한자 표기

2025.03.17/ #아카이브 #옛지도 #경부철도 #since1929/ 일제강점기 당시인 1929년 발행한 조선여행안내 팜플렛. 경부선 철도의 안양역 한자 표기가 安養(편안할 안에 기를양)으로 되어있으며 안양 아래 군포장(軍浦場)도 표기돼 있다 옛지도와 고문서들을 보면 안양 한자 표기인 安養(편안할안에 기를양)과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은 조선시대부터 지도와 문서에 따라 혼용 표기 사용됐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지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일제감점기인 1905-1910년 발행된 근현대 지도를 살펴보면 安養과 安陽이 오락가락하며 표기되는데 1910년대 이전 발행한 지도에는 대부분 한자 표기를 볕양으로 명시한 安陽으로 표기했으며 1912년 이후부터는 기를양으로 명시한 安養으로 바뀌었다. 발행년도 : 일..

[20250317]1930년 조선여행 팜플렛 안양(安養)역 한자 표기

2025.03.17/ #아카이브 #옛지도 #경부철도 #since1930/ 일제강점기 당시인 1930년 발행한 조선여행안내 팜플렛. 경부선 철도의 안양역 한자 표기가 安養(편안할 안에 기를양)으로 되어있으며 군포장도 표기되어 있다.  옛지도와 고문서들을 보면 안양 한자 표기인 安養(편안할안에 기를양)과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은 조선시대부터 지도와 문서에 따라 혼용 표기 사용됐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지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일제감점기인 1905-1910년 발행된 근현대 지도를 살펴보면 安養과 安陽이 오락가락하며 표기되는데 1910년대 이전 발행한 지도에는 대부분 한자 표기를 볕양으로 명시한 安陽으로 표기했으며 1912년 이후부터는 기를양으로 명시한 安養으로 바뀌었다. 발행년도 : 일제강점기 19..

[20250317]1920년대 조선여행 팜플렛 안양(安養)역 한자 표기

2025.03.17/ #아카이브 #옛지도 #경부철도 #since1920/  일제강점기 당시 발행한 조선여행안내 팜플렛. 경부선 철도의 안양역 한자 표기가 安養(편안할 안에 기를양)으로 되어있음을 볼때 1920-30년대 발행된것으로 추정된다.   옛지도와 고문서들을 보면 안양 한자 표기인 安養(편안할안에 기를양)과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은 조선시대부터 지도와 문서에 따라 혼용 표기 사용됐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지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일제강점기인 1905-1910년 발행된 근현대 지도를 살펴보면 安養과 安陽이 오락가락하며 표기되는데 1910년대 이전 발행한 지도에는 대부분 한자 표기를 볕양으로 명시한 安陽으로 표기했으며 1912년 이후부터는 기를양으로 명시한 安養으로 바뀌었다. 발행년도 : 일..

[20250317]1905~1910년 발행 경부선 철도 노선 약도

2025.03.17/ #아카이브 #옛지도 #경부철도 #since1905/ 일제강점기 당시 빌행한 경부철도선로약도. 안양 한자 표기가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으로 되어있음을 볼때 경부선 개통 직후인 1905-1910년 무렵 발행된것으로 추정된다. 안양 한자 표기인 安養(편안할안에 기를양)과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은 조선시대부터 지도와 문서에 따라 혼용 표기 사용됐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지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일제감점기인 1905-1910년 발행된 근현대 지도를 살펴보면 安養과 安陽이 오락가락하며 표기되는데 1910년대 이전 발행한 지도에는 대부분 한자 표기를 볕양으로 명시한 安陽으로 표기했으며 그 이후부터는 기를양으로 명시한 安養으로 바뀌었다. 발행년도 : 일제강점기(미정)제작자 : 미정크기 ..

[20250316]안양 수리산 변산바람꽃 아씨들을 보호해주세요

2025.03.14/ #기록 #변산바람꽃 #안양 #수리산 #경기도립공원/  안양 수리산 계곡에 살고있는 변산아씨들을 만나러 가다.  안양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생태전환분과에서 매년  경기도에서 보호종으로 지정한 변산바람꽃 수리산 자생지 실태 조사 및 보호운동을 전개중이다. 금년에는 3월 14일 1차 답사 결과 늦은 한파 영향으로 꽃 개화가 더딤을 확인하고 홍보 현수막 일부 교체 실시함. 경기도립공원 관리사무소와 협의하여 20일 2차 실태조사를 할 예정이다.바람꽃은 맨 처음 봄을 알리는 야생화이다. 겨울의 끝자락에 돌과 낙엽 틈새를 비집고 올라와 차다찬 바람에도 가녀린 몸을 지탱하고 수줍은 듯한 모습으로 반겨주는 아씨들이 앙증맞기만하다. 그런데 꽃 사진을 찍는 이들이 물을 뿌리고, 눈과 이끼를 덮는등 인위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