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505

[20200117]일본의 창지개명(創地改名), 경기도 읍면동의 40% 달해

경기도가 도내 398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명칭 변경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이 중 40%인 160곳이 당시 고유의 명칭을 잃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일제는 우리 고유의 정서와 의식을 말살하고자 창씨개명 뿐만 아니라 창지개명도 했던 것이다. 일본은 일제강점기에 식민 통치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1914년 대대적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고 우리나라 지명을 변경했다. 이 시기 전국 330여개 군이 220개 군으로 통합됐고, 경기도는 36개에서 20개 군으로 축소됐다. 도는 이번 조사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아시아역사연구소에서 2011년 발간한 ‘경기도 역사 지명사전(京畿道 歷史 地名事典)’에 수록된 읍․면․동의 지명 변천사를 분석대상으로 정의하고, 관련 정보를 범주형 자료로 처리한 후 계량적 분포를..

[20200116]도시공상 세미나 '우리가 슬쩍 본 도시 코펜하겐' 이야기 듣는다

걷고싶고 머물고싶은 마을을 만들기위해 우리마을에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대안을 고민해온 문화예술단체 '골목길'이 도시공상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우리가 슬쩍 본 도시 코펜하겐' 세미나를 오는 17일 오후 7시 비그라운드 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인덕원성당 옆 골목) 에서 개최한다. 각자의 삶에 터진에 긍정적 변화를 꿈꾸는 도시공상가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눌 이 세미나에는 도시연구가이자 '우리가 슬쩍 본 도시 코펜하겐' 저자인 노수미(온 건강연구소 실장) 선생님을 초청해 안양과는 많이 다른 데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의 이야기를 듣는 시간을 갖는다. ‘행복지수 1위 휘게의 나라, 살기 좋은 도시’로 얘기되는 덴마크 코펜하겐에 대해 알아보는 이 세미나에는 살맛 나는 도시로 변화를 꿈꾸고 희망하는 도시공상가들이 참여할수 있..

[20200115]첫 민간 안양시체육회장에 박귀종 前 체육회 부회장 당선

15일 치러진 안양시체육회장 선거에서 기호 3번의 박귀종 후보가 안양체육을 이끌어갈 첫 민간 체육회장으로 선출됐다. 이번 안양시체육회장 선거에는 기회 1번 박복만 후보(63·前 생활체육회장)와 기호 2번 구교선 후보(58·前 축구협회 이사), 기호 3번 박귀종 후보(65·前 체육회 부회장)가 출사표를 냈다. 민간인 체육회장 선거는 정치로부터 체육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고자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에 따른 것으로, 국회는 지난해 12월 지자체장이나 지방의원이 체육회장을 겸직할 수 없도록 관련법을 개정해 1월 15일까지 시·도체육회장 및 시·군·구체육회장을 민간인으로 선출하도록 규정했다. 이에 따라 전국 17개 시도와 228개 시군구 체육회가 민간체육회장 선출에 나서 전국 각지자체에서는 관심과 참여 열기가..

[20200115]안양시, 안양시예술공원 등 도로환경 개선한다

안양시가 보행자 중심의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을 위한 금년도 사업계획을 밝혔다. 6일 밝힌 사업계획은 새롭게 추진하는 7개 분야다. □ 자전거 이용활성화·보행환경개선 기본계획 수립용역 시는 1억6천만 원을 들여 8월까지 자전거 이용활성화와 보행환경개선 기본계획 수립용역을 추진한다. 자전거도로 총 연장구간인 157㎞에 대해 자전거이용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 이와 관련한 비전 및 수요분석 등을 과업으로 삼게 된다. 사람중심의 보행환경개선 용역은 관내 모든 인도를 대상으로 기본적인 현황조사와 분석, 문제점 검토와 정비방안 등이 핵심을 이루게 된다. 시는 용역결과에 근거해 향후 5년간 자전거 및 보행환경개선 정책에 반영할 방침이다. □ 안양예술공원 순환형 도로망 구축·최경환 성지 앞 도시계획도로 ..

[20200115]안양 청년커뮤니티공간 '범계역 청년출구' 새단장 오픈

안양시가 지하철 4호선 범계역 인근에 마련한 청년들의 커뮤니티공간인 범계큐브가 초고속 와이파이존 구축, 고속충전기 설치, 콘센트 추가 등 새롭게 단장을 마치고 시민공모를 통해 선정한 '범계역 청년출구'로 명칭을 바꿔 문을 열었다. 청년출구는 자기 주도적 계발과 소통 및 교류를 위한 청년전용 소통공간으로 기존 민원센터였던 것을 2017년 5월 청년공간으로 오픈, 위탁 운영돼 왔다. 시는 청년정책서포터즈가 제안한 범계큐브 활성화 방안에 따라 지난해 10월 공모를 통해 ‘범계역 청년출구’(이하 청년출구)로 명칭을 바꿨다. 이어서 사업비 5천5백만 원을 투입해 시설개선 공사를 마쳤다. 새롭게 옷을 갈아입은 청년출구는 시설전반이 깔끔하면서도 편리하게 탈바꿈 한 상태다. 아늑한 조명에 천정형 냉난방기기가 들어섰고 ..

[202001015]안양시, 안양4동 장내로등 3개소에 공공디자인 추진

안양시가 안양4동 장내로와 비산3동 롤러경기장 앞 옹벽 경관개선, 안양8동 명학마을 철도방음벽 설치 등 올해 새로 추진하는 노후지역 도시재생 3개소를 공공디자인을 통해 변신을 꾀한다. 장내로 개선구간은 벽산사거리부터 청수약국 앞에 까지 450m다. 미관조성과 함께 시민편익을 증진시키고 중앙성당 주변을 명소화하기 위함이다. 시는 사업비 4억 원을 들여 이 일대 총 연장 7백m구간 노후블록을 교체하고, 안전휀스를 설치할 계획이다. 가로등, 신호등, CCTV, 공공시설물 등의 지주시설물은 통합하는 방식으로 정비가 이뤄진다. 2개소 버스정류장과 마을버스 표지판 및 벤치, 중앙시장의 아치형 간판 그리고 볼라드와 수목덮개 등 설치 된지 오래돼 경관을 해치는 공공시설물들 역시 정비 및 교체 대상이다. 이와 함께 보행..

[20200115]2020 군포철쭉축제 4월 23일부터 26일까지 4일간 열린다

군포시의 대표적 축제인 군포철쭉축제가 4월 23일부터 26일까지 군포시 일원에서 개최된다. 최근 3년 연속 경기관광대표축제로 선정된 군포철쭉축제는 군포시 주최, 군포문화재단 주관으로 4월 23일부터 26일까지 철쭉공원과 차없는 거리, 초막골생태공원, 산본로데오거리 등에서 열릴 예정이라고 군포시가 밝혔다. 이번 철쭉축제는 시민참여단이 구성되는 등 시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축제, 지역예술인들이 직접 기획하는 문화축제, 그리고 차없는 거리를 중심으로 주변 상권을 잇는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진행된다. 또한 철쭉공원 일대는 청소년 등을 위한 프로그램을, 초막골생태공원은 가족단위 시민들을 위한 즐길거리를 각각 제공하는 등, 주요 거점별로 컨텐츠가 다양하게 구성될 전망이다. 군포시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20200115]GTX 금정역 일원에 인공대지 조성해 입체화 개발한다

군포시가 도시의 교통 관문인 금정역 일원 도로(금정역 삼거리→산본시장 사거리 방면) 위에 1만㎡ 이상의 인공대지를 조성해 대중교통 연계형 환승센터, 복합건물, 광장 등을 배치하는 개발계획을 수립․추진할 계획이다. 한대희 시장은 1월 15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은 내용의 ‘금정 환승센터 입체화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아울러 금정 환승센터 사업지역 도로의 하부(지하)에는 주차장을 신설해 주변 상권과 연계,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한다는 전략이다. 군포시의 인공대지 조성을 통한 이같은 입체화 개발방식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C노선의 금정역 정거장이 지하화 건설이 아닌 기존의 지상 시설 이용으로 진행됨에 따라 시가 당초 역사를 중심으로 구상․계획한 환승센터 개발방침의 변경이 불가피해 마련된..

[20200112]과천 광역용수관 파열로 흙탕물에 잠긴 학의천 돌다리들

2020.01.12/ #안양 #학의천#흙탕물 #광역상수도/ 지난 12일을 전후에 큰 비도 안왔는데 학의천 들다리들이 물에 잠기고 흙탕물이 넘쳐 흐른다. 확인해보니 1월 11일 오후 과천시 "갈현고가교" 하부공간에서 "갈현천옹변공사,다리,철거하는 과정에서 광역용수관를 건드려 파열되면서 갈현천-복개구간(동편마을-관양주민자치센터)교)-학의천-안양천으로 물이 흘러든 것 .이로인해 관양교 주변 학의천변 북쪽산책로는 빙판길로 변하고 학의천 돌다리는 모두 물에 잠겨 통행이 불가능했으나 안양시와 구청 등 행정기관에서는 관련 사안에 대한 안내 또는 또는 공지조차 없어 시민들은 불안감속에 궁금케했다.

[옛사진]1970년대 안양읍내 양지교 주변 풍경

1970년대 중반 안양읍내에서 수암천을 건너는 다리 양지교(현 양지4교) 부근의 풍경입니다. 양지교는 수리산에서 병목안과 안양9동, 안양3동, 안양역을 지나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수암천위에 놓여진 다리로 현재의 안양CGV에서 서울쪽으로 30여미터 떨어진 곳입니다. 80년대 하천을 복개하여 주차장을 만들었는데 시가 다시 뜯어내 다리 왼쪽 상류는 철거됐고 오른쪽은 아직 복개돼 주차장 용도로 사용중인데 시는 복개된 남은 구간도 철거한다는 계획지요. 하천 따사로운 햇살이 드는 생명을 불어넣는 것이지요. 사진 위쪽은 안양2동으로 당시에는 북부동이라 불리우던 안양읍내 중심으로 골목에는 단독주택, 구도로(만안로)와 중앙로변에는 교회, 아아스케끼공공장, 제재소와 목재소, 철공소 등과 쌀창고와 정미소, 마부가 운행하는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