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옛사진읽기 695

[20230501]1971년의 안양역앞 공구상가 풍경

2023.05.01/ #옛사진 #안양 #안양1동 #since1957/ 안양시민 문화영님이 제공해주신 사진입니다. 페북과 티스토리에 올려지는 안양지역의 옛사진과 사진 설명을 보고 빛바랜 앨범속 사진들을 보내주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이 사진은 안양역앞 상가(현 엔터식스 앞) 모습으로 사진에는 1957년이라 표기되어 있다. 하지만 상가 철제 샷시와 2층 건물등을 볼때 1970년대로 추정하고 추후 분석 결과 1971년으로 최종 확인했다. 1971년의 사진을 볼때 안양역앞 공구상가의 역사가 꽤 길었음을 보여준다. 이곳 상가들은 과거시흥군 시절부터 안양은 물론 인근 군포.의왕.안산 등지의 공장들과 중소기업에 각종 기계 부품을 공급하던 곳이다. 사진 좌측의 볼트낫트와 전화번호 3535번이 표기..

[20230420]1950년 안양에 있던 수도사단 안양훈련소

2023.05.20/ #기록 #아카이브 #안양훈련소 #역사 #한국전쟁/ 1950년 한국전쟁중 안양에 훈련소가 임시 있었던 모양이다. 국사편찬위원회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에 보관된 미군 기록을 보면 1950년 8월30일 국군 수도사단 신병들이 안양의 육군 훈련소에서 훈련을 받는 장면이 수록돼 있는데 어느 학교로 보이는 운동장에서 병사들이 훈련받는 모습이 보인다. 한편 나무위키 기록을 살펴보면 수도사단은 1949년 1월 7일, '제7여단'으로 창설되었고, 2월 1일 '수도여단'으로 개칭. 1949년 5월 12일 '(구)수도사단'으로 승격한 뒤, 1949년 6월 20일 용산에서 이준식 대령을 초대 사단장으로, 1, 9, 19..

[20230324]1960년대 유유산업 안양공장의 약 생산 모습

2023.03.24/ #아카이브 #옛사진 #안양 #기록 #기억 #유유제약 #유유산업 #석수동 #김중업건축물/ 사진은 현재의 안양박물관(구 김중업박물관)에 자리했던 (주)유유산업 안양공장(유유제약)의 1960년대 약 생산 장면이다. (주)유유는 1941년 유한무역주식회사로 출발했다. 1950년대 중반 한국전쟁 후 안양풀장(안양유원지-안양예술공원) 초입의 포도밭 등 나대지를 매입해 1959년 5월 안양공장을 준공했으며 2007년 제천으로 이전하기까지 국민의 건강증진과 국가 경제발전을 위한 제약기업이었다. 유유산업 창립자는 유득한 씨였는데 한국의 손꼽히는 건축가 김중업(金重業,1922∼1988)에게 건축을 의뢰한 결과 50년대를 대표하는 산업건축물이 탄생하는데 어려운 시대에 공장에 예술을 가미해 건축했다는 것..

[20230320]1980년대 중반 군포 노루목 일대

2023.03.20/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1980년대 중반 군포 노루목 일대 출처: 군포시사 별책2권 군포사진스케치(시흥시향토사료실 소장.시흥군이 해체될 당시 기록물과 사진 등 대부분의 자료들이 시흥시에 있을것으로 추정된다) 군포 산본고가교에서 산본으로 진입하던 일대를 과거 노루목이라 볼렀다. 사진 좌측의 도로는 지금의 산본고가삼거리에서 산본으로 진입하는 도로인 고산로 쯤에 해당하며, 사진 촬영 위치는 지금의 산본1동사무소 부근으로 추정된다. 촬영시기는 1980년대 중반 이후이다. 사진 중앙으로 문화촌이 보이며, 우측 공장 굴뚝이 있는 지점은 금정역앞 보령제약이다.

[20230320]1980년대 중반 군포 금정역 일대

2023.03.20./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1980년대 중반 군포 금정역 일대 출처: 군포시사 별책2권 군포사진스케치(시흥시향토사료실 소장.시흥군이 해체될 당시 기록물과 사진 등 대부분의 자료들을 시흥시에서 가져간 것으로 추정된다) 군포 산본고가교에서 촬영된 사진으로, 당시에는 군포로가 완공되지 않았기에 도로가 안양6동의 안양경찰서 사거리(현 성경대사거리)에서 현재의 금정역 앞까지만 연결되어 있었다. 수도권전철 과천선이 건설되기 전이므로 선로도 지금보다 훨씬 적은 모습을 볼 수 있다. 철로 우측이 문화촌이고, 좌측에 보령제약 안양공장(현 힐스테이트금정역+AK플라자)의 굴뚝이 보인다.

[20230304]1968년 군포 밤바위(군포 제7경) 청소년 놀이터였다

2023.03.04/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1968년 #밤바위 #군포제7경 #금정동 1968년 군포 밤바위와 담력 놀이 출처: 군포시사 별책2권 군포사진스케치(군포주민 권원혁 소장) 이 사진은 1968년 군포 밤바위에서 청소년들이 바위를 뛰어넘으며 담력 놀이를 찍은 사진이다. 군포시 금정동, 현재의 행정동으로 치면 재궁동에 있는 시민체육광장 뒤편 산에는 큰바위가 하나 있다. '밤바위' 라 불리우는 바위다. 밤바위는 그 주위에 밤나무가 많아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하며, 이 바위가 있는 산을 '밤바위산'이라고 한다. 밤바위산은 월구지고개(100m)에서 감투봉(181.1m)까지 지형상 직선거리 2.1km로 군포시의 한 가운데를 북서와 남동으로 양분하고 있는 해발 183.1m의 시민체육광장을 둘러싸고 ..

[20230304]1960년대 중반 군포 신사터에서 내려다 본 당동 일대

2023.03.04/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1960년대 #군포당동 #신사터 #군포역 1960년대 중반 군포 신사터에서 내려다본 당동일대 모습이다 출처: 군포시사 별책2권 군포사진스케치(군포주민 김정훈 소장) 이 사진은 1960년대 군포 신사터에서 산자락 아래 당동일대를 향해 찍은 사진으로 중앙 우축멀리 흰색 건물의 군포역이 보인다. 당동일대는 1905년 경부선 철길이 지나고 군포장역이 있어 일제강점기부터 1990년대 산본 신도시가 생기기 이전까지 군포의 중심지었다. '신사터'란 일제강점기 말에 건립된 신사(神社)가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현 군포1동주민센터에서 밤바위산 방향으로 올라가다가 있었다. 산자락에 있던 신사터는 당동 일대를 조망하기 좋아 군포 토박이 원주민들이 마실 또는 나들이로..

[20230204]1970년대 1번국도 군포버스정류장과 구군포사거리

2023.03.04/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1970년대 #군포정류장 #구군포 #호계구사거리 #국도1호선 1970년대 국도1호선 군포정류장과 구군포사거리 주변 풍경이다. 출처: 군포시사 별책2권 군포사진스케치(시흥시향토사료실 소장.시흥군이 해체될 당시 기록물과 사진 등 대부분의 자료들을 시흥시에서 가져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진은 1970년대 중반에 촬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오른쪽에 안양교도소등이 적힌 이정표 표지판이 보이는데 구군포사거리(현 호계구사거리)에서 과천으로 가던 옛길로 현재의 경수대로 519번길이다. 이정표 아래 길옆에 농원상회가 보이는데 현재 신원당약국이 자리한 건물이다. 사진 중앙에 버스가 지나가는 1번국도 우측에 주유소 간판이 보이는데 현재도 운영중인 서일주유소이다 사진 왼..

[20230304]1983년 신축중인 군포성당과 군포중학교 등 당동일대

2023.03.04./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1983년 #군포성당 #군포중학교 #땡땡거리 1983년 무렵의 땡땡거리라 불리던 철도건널목 주변으로 현재 지샘병원이 자리한 당동 일대 풍경이다. 출처: 군포시사 별책2권 군포사진스케치(시흥시향토사료실 소장.시흥군이 해체될 당시 기록물과 사진 등 대부분의 자료들을 시흥시에서 가져간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아래 보이는 철도가 경부선 철길이다. 우측 하단에는 소위 땡땡거리라 불리우던 철도건널목이다, 땡땡거리앞에는 상점과 식당이 있었다. 사진 중간의 도로위에 신축중인 건물이 천주교 군포성당(1984년 9월18일 설립)이고 좌측의 흰건물은 1982년 개교한 군포중학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