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뉴스 5315

[2021130]군포시 ‘희망에코마을 조성사업’ 전국 최우수상 수상

군포시의 ‘민관협력 희망에코 마을조성사업’이 전국 최우수 좋은 정책사례로 뽑혔다. 군포시는 12월 28일 서울 중구 퇴계로 MBN 본사에서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주최, MBN 주관으로 열린 ‘대한민국 좋은정책대회’ 시상식에서 ‘민관협력 희망에코 마을조성사업’으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번 대회는 전국 기초지방정부의 우수 정책사례를 발굴해 국민 관심을 높이고 모범적인 사례를 전국 지자체로 확산시키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열렸으며, 최우수상 수상 지자체는 군포시 등 15곳이다. 전국 102개 기초지자체에서 총 268건의 정책사례가 응모했으며, 1차 외부 전문가 심사, 2차 PT 및 현장심사, 3차 국민참여심사 등 엄격한 심사과정을 거쳐 전국의 좋은 정책사례 20건(대상 5건/최우수상 15건)이 선정됐다. 군..

[20211217]김중업 100주년 <김중업, 더 비기닝: 건축예술의 문을 열다>

안양문화예술재단 김중업건축박물관(관장 김태원)이 건축가 김중업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마련한 기획전 를 12월 16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2022년 6월 26일까지 김중업박물관 1층 상설전시관에서 열린다 건축가 김중업 초기 주요 작품을 시기별로 선보이는 ‘김중업, 더 비기닝: 건축예술의 문을 열다’ 기획전은 주한프랑스대사관과 ‘르 코르뷔지에 재단’이 이번 전시를 후원하고, 조병화문학관 등 여러 소장자 도움으로 축적한 풍성한 자료와 영상을 에피소드별로 전시했다. 전시는 크게 3개 주제로 나눠 진행되며 △1부‘청년, 꿈을 키우다’는 1922년 출생부터 광복 이후 한국에서 문화예술가들과 활발하게 교류했던 여정을 보여준다 △2부 ‘건축가 여정과 도약’은 서구 근대건축 실무를 익히고 세계적인 건축가들과 교류하며 ..

[20211213]교수신문 선정 올해 사자성어 '묘서동처(猫鼠同處)'

한 해를 되돌아보며 그해의 사회상을 압축적으로 우리 사회를 사자성어로 논평해온 교수신문이 스물한번째를 맞는 2021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묘서동처(猫鼠同處)"를 선정했다 대학교수들이 2021년을 정리하는 사자성어로 손꼽은 ‘묘서동처(猫鼠同處)’는 ‘고양이와 쥐가 함께 있다’는 뜻으로 ‘도둑을 잡아야 할 사람이 도둑과 한패가 된 것’을 비유한 사자성어다. 12일 교수신문에 따르면 지난달 26일부터 지난 2일까지 전국 대학교수 8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묘서동처가 1760표 중 514표(29.2%)를 얻어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됐다. 묘서동처는 중국 당나라 역사를 기록한 책인 ‘구당서’에 등장한다. 한 지방 군인이 집에서 고양이와 쥐가 같은 젖을 빨며 서로 해치지 않는 신기한 모습을 보게 ..

[20211202]군포시 '문화도시' 예비문화도시로 선정. 안양시는 탈락

2021.12.02/ #군포 #문화도시/ 군포시가 문화도시 '예비문화도시'로 최종 선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제4차 문화도시 예비사업 대상지 11곳을 선정해 2일 발표했다. 군포시는 지난해 문화도시 예비지정 신청을 처음 제출했한바 있어 두본째 도전끝에 예비문화도시 지정을 받아낸것이다. 문화도시 조성사업은 지역별 특색 있는 문화 발전 지원을 위해 제정된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추진 중인 사업이다. 지역 스스로 도시의 문화환경을 기획·실현해 나갈 수 있도록 예산을 지원한다. 현재 1차 문화도시 7개, 2차 문화도시 5개가 지정됐으며 3차 예비문화도시 16개 중 6개을 지정해 12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 공모를 통해 예비 문화도시로 지정된 지자체는 1년간 지자체 예산으로 예비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이후 심의..

[20211201]안양천(호계대교-구군포교) 산책로 새단장 완료

안양시가 안양천변 호계대교~구군포교 약 2.4km구간 산책로를 안전한 환경으로 정비했다. 9억원을 투입해 11월 초 공사가 끝난 호계동 일원 안양천 산책로는 2.7m에 불과했던 폭이 4.5m로 늘어나 보행 및 자전거 교행이 수월해 졌다. 또 바닥면이 칼라아스콘으로 재포장되고, 다리밑과 산책로 중간에는 벤치가 설치되고, 중앙선과 횡단용 노면표시가 새로 생겼으며 보행전용 공간과 분리됐다.

[20211129]우리동네 우체통 어디 있을까, 위치 찾기

편지를 보낼 때 멀리 우체국에 가지 않고도 근처에 위치한 빨간 우체통에 작성한 편지를 쏙 집어넣으면 된다. 우체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주 지역 인근에 위치해 접근성이 편한 빨간 우체통은 우편 서비스의 핵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우체국에 비해 많은 우체통이지만 주변에 우체통이 어디 있는지 알기란 쉽지 않다. 특히 집 주변이 아니라 낯선 지역에서 편지를 보낼 때에는 우체국에 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우체통의 위치까지 찾기 어렵다면 그야말로 난감한 상황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전국에 위치한 우체통의 위치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은 없을까? 우정사업본부와 각 체신청, 우체국 홈페이지에 접속해 ‘우체통 찾기’를 클릭하면 지도검색서비스로 바로 연결돼 우체통의 위치가 표시된다. 자기가 있는 곳에서 ..

[20211128]전국 5일장 지도

전국 5일장 지도가 있습니다 바로 wowmap 와우맵 이라고 인터넷 찾아 보니 있던데, 여행 가거나 전국 시골장터 언제 열리는지 검색할 때 이용하면 좋을 거 같네요 와우맵에서 5일장 검색하면 어떤 지역에서 장터가 열리는지 주소 확인 가능합니다 재래시장, 시골장터 구경하면 재미도 있고 먹거리도 있죠 대형마트 더 편리하고 좋긴 한데 시골장터는 에누리도 있고 나름 시골인심이라는 것이 있어서 시골 정감이 많이 갑니다 지도에 표시된 아이콘을 누르면 열리는 시골 장날 날짜 및 주소도 나와서 찾아갈수 있죠 와우맵( wowmap ) 에는 5일장날 외에도 해돋이 일몰 지도 및 관련 지역별 해뜨고 해지는 시간 정보도 나옵니다 5일장 지도 와우맵 바로가기 http://wowmap.kr/market5

[20211127]몰래산타 열아홉번째 출동, 코로나19로 "목하 고민중"

안양.군포.의왕지역의 어린이들에게 성탄절 선물을 전달할 열아홉번째 몰래산타 이야기가 코로나19 상황을 맞아 산타 출동 여부를 놓고 목하 고민중이다. 안양6동에 위치한 비영리 사회복지단체인 ‘빚진자들의 집’(대표 송용미)은 안양, 군포, 의왕 지역의 아이들의 작은 희망을 위해 각 가정으로 매년 12월 23일 찾아가는 몰래산타들의 출동을 위해 선물도 준비하고 직접 선물을 갖고 어린이들을 찾아갈 몰래산타 모집을 해왔다. 하지만 코로나19 상황이 급변하게 변하고 있어 몰래산타 집결 및 출동 장소도 아직 미정으로 오는 12월23일 몰래산타 출동을 소규모로나마 할수 있도록 준비중인것으로 알려졌다. 몰래산타는 어린이들이 어릴 적 마음바탕에 따뜻한 기억을 갖고 살아갈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함께 사는 세상에 ..

[20211126]안양에서 출토된 유물 국가귀속문화재 특별전

안양문화예술재단(이사장 최대호) 안양박물관은 오는 2021년 11월 30일(화)부터 2022년 6월 26일(일)까지 '국가귀속문화재특별전: 돌아온 역사, 안양'을 주제로 기획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기획전시는 선사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안양의 풍요로운 역사와 문화를 약 200여점의 문화재와 자료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청동기 시대 안양 관양동 집자리 유적부터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꽃피웠던 불교문화까지 역사적 흐름에 따라 안양의 중요 문화재를 한 자리에서 살펴볼 수 있는 특별한 기회다. 특히 안양에서 출토돼 국가에 귀속된 문화재를 중심으로 국립중앙박물관, 동국대학교박물관 등 국공립기관의 유물과 그 동안 박물관 연구 사업으로 축적된 자료를 전시하여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또한 전시실에 미디어 영상, 그..

[2021124]의왕시,‘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인증 획득

의왕시가 지난 9일 유니세프한국위원회로부터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증으로 의왕시는 경기도내에서 9번째, 전국에서는 59번째로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받은 지자체가 되었다. 인증기간은 2021년 11월 9일부터 2025년 11월 8일까지 4년간이다.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UNICEF Child Friendly Cities)는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담긴 아동의 권리를 온전히 실현하고, 아동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아동에게 친화적인 환경을 갖춘 지자체를 말하는 것으로, 아동친화도시 조성에 필요한 10가지 조성원칙을 바탕으로 46가지 세부항목을 평가해 인증여부를 결정한다. 시는 지난 2019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와 업무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아동권리 전담부서 신설 △아동의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