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얘기/담론

[신호근]간판문화, 새롭게 가꿔 나가야 한다

안양똑딱이 2016. 6. 3. 17:09
[신호근]간판문화, 새롭게 가꿔 나가야 한다

[2005/06/08 시민연대]넥스트건축 대표


 

나는 항상 도시의 거리를 걸으며 수많은 옥외간판을 쳐다보다 많은 생각에 잠긴다. 이 도시속의 수많은 옥외간판이 지나가는 우리에게 강한 어조로 봐 달라며 호소하고 있는 건물을 보면 인상을 찌푸리게 된다.

마치 남대문시장의 추억이 돼 버린 노점상들의 박수와 손님의 시선을 끌기 위해 반복되던 외침의 여운이 지금은 어디론가 사라진지 오래된 것처럼 시대의 요청에 따라 개인 건축물에 부착된 무질서한 옥외간판 조차 공금을 들여서라도 정비해야 하는 상황이다.

분명 무질서하게 난립한 도시의 옥외간판은 시각적 불협화음이며, 이러한 지나친 간판은 서로의 간판경쟁을 부추기게 돼 시각적 인지성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경관의 미적인 관점에서 조화로운 색상과 크기를 고려한 후 설치해야 시민들에게 아름다운 거리환경을 제공할 수 있지 않겠는가?

우리는 왜 거리의 옥외간판들이 글자를 크게 하고, 강한 색상을 사용해야 하는가를 생각해야만 그 해결점을 찾을 수 있다. 요즘 상업용 건물을 보면 외장재가 무엇인지, 어떤 색상을 사용했는지 조차 알기 힘들 정도로 건물 전체가 간판으로 포위돼 있다.

이는 옥외간판을 개인적, 상업적인 접근방법으로만 보는 것은 아닌지? 대개 도시의 간판은 도시구성요소로 건축물 도로 가로수 가로변 구조물처럼 언급되지는 않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도시의 여러 옥외광고물들이 거리의 환경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임을 뒤늦게 인식하게 됐다. 특히 야간의 거리환경을 지배한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최소한 한 건물에서라도 색상과 글씨체의 통일과 조화를 고려해 옥외간판을 설치한다면 그 건물을 디자인한 건축가에게는 결례가 되지 않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설계를 의뢰한 건축주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많은 상담을 요청하는 부분이 외장재의 선택과 입면에 대한 것이라면, 정말 아이러니하지 않은가?

입면이 아름다운 건축물도 1년을 넘기지 못하고 무질서한 간판들의 부착으로, 간판이 외장재로 변해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어떤 때는 차라리 외장재를 처음부터 간판으로 디자인 하는 게 건축비도 절감되고 차후에 더 추하지 않겠다는 생각까지 하게 된다.

옥외간판의 새로운 방향제시는 현재 지역적 특성이 없이 획일적인 간판설치를 시가지 권역별에 따라 간판의 종류와 범위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상하이에 가 보면 눈에 보이는 간판의 위계를 느낄 수 있다. 시내 상업지역의 보행로는 거의 네온으로 간판이 통일돼 있어 중심상가의 화려함이 한층 돋보인다.

그러나 주거지역의 간판들은 1층의 점포를 제외하곤 찾아 보기가 힘들다. 그리고 호
텔이나 백화점의 간판은 건물에 부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면 조경공간 중앙에 조형성을 고려한 지주형 간판으로 설치돼 있어 건축물의 입면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보고, 조경과 잘 어울리는 간판이라기 보다 하나의 조형물 같았다.

특히 유원지 같은 보행 방문객이 많이 오는 문화공간은 도시의 간판디자인 방향과 다르게 자연과 잘 어울릴 수 있는 자연 친화적 자재를 이용해, 화려함 보다는 친근감이 있고 정감을 주는 문자 부착형 간판이나 조형적 지주이용 간판으로 쾌적한 문화공간을 마련해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도시의 간판문화를 쾌적하고 아름답게 가꾸어 나가기 위해서는 관주도로만의 현실적 어려움이 산재해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지역주민의 호응과 상인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우선시 돼야 한다. 다시 말하면 국내외의 좋은 사례를 홍보하면서 지속적인 토론과 공론화를 통해 간판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중지를 모으는데 시간이 다소 걸린다 하더라도 할애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얼마가지 않아 다시 과거로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시의 간판은 설치 못지않게 유지 관리가 더 중요하다. 이러한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대림대학 겸임교수·넥스트건축 대표

2005-06-09 04:0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