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6/ #도시기록 #안양 #벌말/ 안양 평촌동에는 평촌의 옛지명인 벌말 상호를 사용하는 곳들이 있다. 지하철 4호선 평촌역도 개통 초창기에는 벌말역이라 쓰고 불리웠는데 시의회에서 바꾸었다.
벌말(坪村)
산이 없는 허허 벌판에 자리잡고 있어 벌말(坪村)이라 불렀는데, 그 후 마을이 또 생겨 두 벌말 또는 이 평촌(二坪村)이라 했으며, 이를 줄여 이동리라 칭하였다. 예전에는 한강에서 과천-안양에 이르는 모든 취락 중 가장컸던 벌말은 조선 초기에 괴산 음씨(후손-음순배, 음경택 등)가 최초로 살아 음촌 이라 부르기도 하였으며, 그 후 밀양 박씨, 전주 이 씨, 김해 김씨 등이 세거해 왔다. 벌말은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서울-과천-군포-남양간 도로를 개설한 후 1969년에 동일방직 (평촌동 1)을 비롯하여, 오뚜기식품(평촌동 160), 1982년에 가나안제과(평촌동 81-4) 등의 공장이 건립되면서 인구가 늘기 시작하였다. 발말 대부분 지역이 평촌신도시로 개발된 이후에도 동일방직(현 대림아파트) 뒷편에 예전 마을 일부가 마치 구도심처럼 남아 유지돼 오다 최근에 재개발이 추진중이다. 벌말 출신 인물로는 2018년 7월28일 타계한 고 음순배씨를 손꼽는다. 음순배 씨는 안양시의회 1.2대 시의원을 역임했으며, 안양시새마을회 2.3.6.7대 회장을 지내면서 안양시 새마을운동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로 구(舊) 평촌동 청사 부지 기부, 장학사업 전개 등 기부문화 확산에 크게 기여했으며, 안양시 새마을회관 및 평촌동 벌말경로당 건립 등 지역의 숙원사업을 해결하는 등 지역 발전의 선구자로 장례 영결식을 안양시 최초의 시민장(市民葬)으로 개최했다.
[20250924]조선시대 삼남대로(과거길)가 지나던 안양 평촌동
[20250914]안양 석수동에 평촌(벌터) 동네가 있었다
[20240624]안양 평촌역으로 이름 바뀐 벌말역 준공표지판
[20220209]1960년대 안양 평촌_ 초가집이 대부분이던 민배기와 벌말
[공지]안양탐사대 139차 탐방(20180929)_안양 평촌동 옛 골목길
'도시사진기록 > 골목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926]안양 병목안시민공원에서 가을을 만나다 (0) | 2025.09.26 |
---|---|
[20250926]안양 중앙시장 백야예술제 행사 준비 한창 (0) | 2025.09.26 |
[20250924]조선시대 삼남대로(과거길)가 지나던 안양 평촌동 (0) | 2025.09.24 |
[20250924]안양 평촌동에 신축중인 오뚜기 기념관 현재 상황 (0) | 2025.09.24 |
[20250923]안양시청 현관앞 기둥에 부착된 각종 인증패 (0) | 2025.09.23 |
[20250918]시간이 멈춘 안양 서쪽 끝자락 동네 <호현마을> (0) | 2025.09.18 |
[20250918]안양시 서쪽끝 디자인 참한 주거지 <친목마을> (0) | 2025.09.18 |
[20250918]안양 삼성천 계곡 너럭바위들 폭우로 물에 잠긴 모습 (1) | 2025.09.18 |
[20250916]안양천 명학세월교 하천 바닥에 모래무지가 지천이다 (0) | 2025.09.16 |
[20250916]안양천 참새들 반상회 열듯 2~300마리 모였다 (0) | 2025.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