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5

[20251107]1894년 朝鮮輿地圖(조선여지도)속 경기중부

2025.11.07./ #아카이브 #고지도 #since1894 #조선여지도/ 朝鮮輿地圖 조선여지도, Chosunyeojido. 작자청수상태랑(일본). 간사년고종311894.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조선여지도 경기중부지역. 경부선 칠길이 놓여지가 전의 마을과 도로, 하천, 산 등 지형지물을 볼수 있다. 始興(시흥)과 果川(과천) 貴仁(귀인) 마을과 修理山(수리산)이 표기돼 있다. 과천-수원길은 진하게 표기된 반면 시흥-수원길은 흐릿해 당시 과천길 통행이 많았음을 보여준다. 조선여지도(朝鮮輿地圖)>는 일본인 시미즈(淸水常太郞)가 1894년에 오사카에서 제작한 현대식 대축척지도이다. 지도를 보호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포갑의 안쪽 봉면지에 김옥균(金玉均, 1851~1894)이 소지했던 지도를 축소 복사하여 참..

[20251108]24절기중 19번째 절기, 겨울의 시작 입동(立冬)

2025.11.08/ #절기 #입동/ 겨울이 시작되는 입동(立冬)이다.입동은 24절기 중 열아홉번째 절기로, 이날부터 쌀쌀한 바람이 옷깃을 여미게 하고, 밤에는 기온이 크게 떨어져 서리가 내리기 시작한다. 동물들도 이 시기부터 땅속에 굴을 파고 숨어들며 겨울잠을 준비한다.입동은 농경사회에서 한해 농사를 마무리하고 다가오는 긴 겨울을 대비하는 시기다. 이 무렵 농촌의 가장 큰 일은 김장이다. 입동을 전후해 담그는 김장이 맛이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다. 정학유의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에는 “방고래 구두질과 바람벽 맥질하기, 창호도 발라 놓고 귀구멍도 막으리라”는 구절처럼, 집 안팎의 겨울나기 준비도 입동의 중요한 작업이었다.입동 무렵에는 작은 고사를 지내는 풍습도 있었다. 10월10일에서 30일 사이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