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137

[20230430]안양 학의천 꼬리명주나비서식지 & 쥐방울덩굴군락지

2023.04.17/ #도시기록 #생태다양성 #꼬리명주나비 #서식지 #자생지 #쥐방울덩굴군락지 #안양 #학의천 #관양동 안양 관양동 학의천 남단 뚝방과 천변에는 꼬리영주나비 애벌레의 먹이인 쥐방올덩굴군락지가 있다. 꼬리명주나비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목록집에 ‘취약 대상’으로 지정된 멸종위기종으로 나비목 호랑나빗과 곤충으로 꼬리가 가늘고 길다. 뒷날개 뒤쪽에 붉은 띠와 2~3개의 푸른 점이 있다. 20여 년 전만 해도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곤충이었지만 하천 정비 등으로 먹이 식물인 쥐방울덩굴이 사라지면서 개체 수가 급격하게 감소했다. 쥐방울덩굴은 꼬리명주나비의 유일한 먹이식물로 주로 하천 주변에 서식한다. 꼬리명주나비알은 1년에 3회(4·6·8월) 부화한다. 초여름 학의천 관양동(관양교~..

[20230430]안양 수리산 병목안에 송화가루 뿌옇게 날리던날 풍경

2023.04.30/ #도시기록 #송화가루 #소나무 #수리산 #병목안/ 안양9동 병목안시민공원에서 보는 송화가루 날아가는 풍경이 그야말로 장관이다..마치 산에 물안개가 내리듯 바람을 타고 소나무들에서 날아가는 송화가루가 산 전체를 뿌옇게 감싸면서 휘몰아친다. 병목안시민공원 잔디마당과 산책로에서 보이는 맞은편 산에는 1960-70년대 경기도 임업시험관리소에서 심은 나무들이 빼곡하게 들어차 있는 임업시험림 공간이다.

[20230501]수리산 안양 담배촌 계곡에서 새끼 고라니를 만나다

2023.05.01/ #도시기록 #생태 #고리니 #수리산/ 안양9동 수리산자락 담배촌 계곡에서 고라니새끼를 만나다. 담배촌 계곡 수암천 물가에가까이 간 순간 계곡 물가 한쪽에서 무언가 후다닥 뛴다. 고라니 새끼다. 불과 십여m, ,물 마시러 왔다가 인기척에 고라니도 놀라고 나도 놀랐다. 산자락에 올라가서는 풀을 뜯어먹으며 이쪽저쪽 눈치를 보다 사라졌다. 수년전 안양6동 엣검역원 뒷뜰에 몰래 들어와 살던 고라니 가족을 발견해 4마리중 3마리(1마리는 구조중 죽음)를 구조해 수리산(군포 수리사앞)에 방사했는데 그녀석들 자손은 아닐까 인연을 연결하고 싶은 마음에 막연하게 추정해본다.

[20230501]1971년의 안양역앞 공구상가 풍경

2023.05.01/ #옛사진 #안양 #안양1동 #since1957/ 안양시민 문화영님이 제공해주신 사진입니다. 페북과 티스토리에 올려지는 안양지역의 옛사진과 사진 설명을 보고 빛바랜 앨범속 사진들을 보내주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이 사진은 안양역앞 상가(현 엔터식스 앞) 모습으로 사진에는 1957년이라 표기되어 있다. 하지만 상가 철제 샷시와 2층 건물등을 볼때 1970년대로 추정하고 추후 분석 결과 1971년으로 최종 확인했다. 1971년의 사진을 볼때 안양역앞 공구상가의 역사가 꽤 길었음을 보여준다. 이곳 상가들은 과거시흥군 시절부터 안양은 물론 인근 군포.의왕.안산 등지의 공장들과 중소기업에 각종 기계 부품을 공급하던 곳이다. 사진 좌측의 볼트낫트와 전화번호 3535번이 표기..

[20230430]군포 철쭉동산 남쪽 입구에 있는 이기조선생 묘역

2023.04.30/ #도시기록 #군포 #이기조선생묘역/ 군포시 산본동 산 1152-11 군포 철쭉동산 남쪽 입구에 위치해 있다. 원래 경기도 장단(長湍)에 있던 것을 1728년(영조 4)에 산본동 16번지 근처로 이장했다가, 1992년 산본 신도시 건설로 지금의 위치에 조성하였다. 1990년 4월 30일에 경기도 기념물(제 121호)로 지정되었고, 한산이씨 총대종회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20230430]어디로갔을까! 안양6동 동아빌딩앞 건축물 미술 작품

2023.,04.28/ #도시기록 #공공미술 #건축물미술품 #안양 #조각 #동아빌딩/ 안양6동 만안구청 옆에 자리한 동아빌딩. 건물앞 저 안양6동 만안구청 옆에 자리한 동아빌딩. 건물앞 저 좌대 위에도 분명 조각품이 있었을텐데 지금은 없다. 어디로 갔을까. 건축물 미술작품. 한편 건축물 미술작품은 공공 공간을 예술적으로 조성해 지역민이 예술체험을 가까이 하게 만들고, 예술가에게는 창작 기회를 장려하는 취지를 담고 있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국민들의 문화향수 기회를 확대하는 문화예술활동을 진흥시키기 위한 제도의 일환으로 건축물 미술작품을 강구한 것으로 현재 건축물 미술작품은 전국에 1만 5000여 점이 설치되어 있고, 조각과 회화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현 문화예술진흥법 제9조, 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