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뉴스/안양

[20231120]안양지속협, 올해의 대표종 '오색딱다구리' 선정

안양똑딱이 2023. 11. 20. 16:49

디자인: 안양지속협 생태분과 박진아 위원

안양시지속능발전협의회 2023 생물다양성탐사 올해의 대표종으로 오색딱다구리를 선정했다.

 

안양시지속가능발젼협의회는 지난 63일과 10월 14일 안양시 비산동 관악산림욕장 간촌습지 일대에서 2015년 첫 행사 이후 여덟 및 아홉째의 ‘2023 ’안양시 생물다양성탐사를 실시하고 생물종 목록을 작성한 결과 멸종위기 등급의 관심대상 인 오색딱다구리가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올해의 대표중으로 선정했다.

 

오색딱다구리는 23Cm 크기로 한국 전역에서 번식하는 텃새이다. 대체로 썩은 나무 줄기에 구멍을 파고 그속에 둥지를 툴어 5-7월에 4~6개의 알을 낳는다. 특이한 것은 오색딱다구리가 사용한 둥지를 흰눈썹황금새. 곤줄박이 등 다른 생물종의 번식을 돕는데 재이용된다는 점이다.

 

안양지속협은 발견하기 쉽지않은 오색딱다구리가 관악산산림욕장 일대에 서식하고 있음과  생물다양성차탐사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오색딱다구리 뱃지를 제작하고 탐사 결과를 알리는 등 대시민 홍보에 나섰다.

 

한편 생물다양성탐사는 생명 또는 생물을 의미하는 바이오와 대공습이란 뜻의 블리츠를 결합해 영어로 '바이오블리츠(Bioblitz)'라 불리운다.

 

이 프로그램은 전문가 및 일반인이 함께 생물 조사 활동을 하는 시민들의 과학참여활동으로 탐사 지역 내에서 살아있는 모든 생물종을 조사하는 것으로 참가자는 생태계와 생물 및 자연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갖게 되고, 전문가는 다양한 생태계와 생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교육과 흥미가 결합된 현장 체험 프로그램이다. 를 통해 해당 지역의 생태 정보를 기록하고,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해 생물다양성 보존에 대한 인식을 제고한다는 취지다.

 

안양시지속가능발젼협의회는 2015년 바이오블리츠를 안양형으로 적용하여 석수체육공원과 와룡산일대에서 생물다양성 첫 탐사를 시작했다. 이어 2016년 제2회때는 안양천생태이야기관과 석수산 똥골 일대, 2017년 제3회는 안양예술공원과 삼성산, 2018년 제4회때는 수리산-병목안 일대, 2019년 제5회는 국내 최대 규모의 왕개미 초군체가 살고있는 안양6동의 도심(엣 국립수의확겸역원)에서 열렸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 확산으로 행사 자체가 열리지 못했으며 2021년에 안양천과 학의천이 만나는 합류지점인 쌍개울에서 제6회 행사를, 2022년 제7회 행사는 수암천과 인접한 병목안시민공원에서 진행한바 있다, 금년 20236월에 여덟번째 생물다양성행사는 참가대상을 안양지속협 위원 및 안양 관내 주변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돤악산 선림욕장 일대에서 열었으며 금년 가을인 10월에 같은 장소에서 안양지속협 위원을 대상으로 아홉번째 행사를 개최했다.

 

안양시지속가능발젼협의회는 매년 개최해온 생물다양성탐사를 올해는 그간 참여자를 모집해 전문가와 많은 시민들이 모여 탐사하던 행사방식을 전환해 안양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생태전환분과에서 직접 주관하는 방식으로 마련했다. 이는 평소 생태강사 등으로 활동하는 준전문가급의 위원들이 직접 강사로 나서 해설과 탐사조를 이끌어 바이오블리츠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면서 내실을 기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에 학의천 지류인 마분산천 발원지인 관악산 간촌약수터와 안양유아숲체험장, 간촌습지 일대에서 실시한 탐사에는 안양지속협 위원 및 신성중, 안양외고 생태,과학동아리 학생 등 7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식생 및 조류 전문가와 3개팀(식물, 조류, 수서)으로 나뉘어 한나절동안 탐사를 실시한결과 식물 108, 조류 12, 수서곤충 22종 등 총 142종으로 많지는 않지만 다양한 종류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는것으로 확인했다.

 

이같은 생물다양성 데이터는 해당 지역 생태지도 제작시 기초 자료로 활용돼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전략과 관리체계 마련의 토대가 될 예정이다.

 

1(2015) 석수체육공원 & 와룡산

2(2016) 안양천생태야기관 석수산 똥골 일대

3(2017) 안양예술공원 삼성산 &삼성천

4(2018) 수리산 병목안시민공원&수암천

5(2019) 옛 국립수의확검역원 왕개미서식지

6(2021) 안양천 쌍개울

7(2022) 병목안시민공원&수암천

8(2023) 06월 관악산 간촌습지

9(2023) 10월 관악산 간촌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