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얘기/담론

[최영일]안양의 옛지명은 되돌아와야한다.(2006.06.07)

안양똑딱이 2019. 5. 17. 16:51

안양의 옛지명은 되돌아와야한다.
최영일 | 2006.06.07 
안양광역신문 기고에서( http://anyangnews.net/bbs/bbs.asp?exe=view&group_name=317&section=9&category=3&idx_num=6407&page=1&search_category=&search_word=&order_c=strWriter&order_da=asc)

 

사회성격을 규정하는 법이나 제도의 개정이 우리나라처럼 심하게 이루어지는 나라도 아마 없을 것이다.

지난 반세기동안 이루어진 법제도의 개정은 어떤 형태의 논리에서인지  아무런 어려움 없이 시행해 왔으며 이런 개정문화에 우리는 상당히 익숙해있다.

법제도가 있으면 정착이 되는 것이 아니라 얇팍한 논리에 의해 쉽게 쉽게 잘도 바꾼다. 이렇게 쉽게 고쳐진 새로운 법제도는 얼마가지 못해 또 다른 개정을 하면서 결과적으로 우리는 자주  새롭게 바뀐 틀 속에 적응하면서 살고 있다.

"한국에서는 일하기가 쉽다"는 외국인의 지적대로 공무원이 하고 싶은것은 아무 저항없이 실행돼는 현실이 개탄스럽다. 그렇다보니 전통이란 정말 낯선 문화가 되어버린 것이다.

전통의 상실엔 행정공무원들의 무지는 그렇다치고 전통문화에 대한 시민의식의 결여가 근본적인 문제이다.

고급행정 공무원들이 일방통행을 하다 보니 사회전체에 전통이나 관습이 희석되어간다: 정당명의 변경이나 교육제도의 개정 등은 아마 기록이 있다면 기네스북에 올랐을 것이다.

사소한 문제제기가 법제도개정의 정당성으로 발전하면서 구제도나 구법이 역사속으로 사라지는 행태는 왜 우리나라에서 유난히 심할까? 왜 우리는 선진외국에 비하여 법제도가 전통적으로 보존계승 되어지지 않을까? 구제도가 잘못되었기 때문에? 아니면 새로운 시대에 맞지 않아서? 그렇지가 않다.

우리에게는 정신문화에대한 인식의 부족에 큰 문제점이 있다. 전통문화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전통의식이 사회전반에서 변두리로 자리를 이동하고 있다. 전통의식이 희박하니 전통의 중요성을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당장 눈앞에서 펼쳐지는 물질적 생활의 만족감이 그들에게 주관심사이지 전통은 귀찮기만 한 구시대의산물로 다가온 것이다. 

얼마 전에 신문에서 서울의 봉천동명칭을 바꾼다는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이유는 단지 동네이름이 "촌스럽다"는 것이다. 아마 동네이름이 촌스러우면 동네 땅값도 안 오르고 이래저래 경제적 손실을 입으니 새로운 세련된 이름이 그들에게 필요했던 모양이다. 동네의 유래나 전통이 경제적 이해관계에 의하여 또다시 사라지는 순간  인것이다.

이런 단세포적 발상은 우리사회엔 이미 오랜 전 부터 만연돼 있다. 안양이 1973년 시로 승격되면서 양지동 장내동 냉천동 주접동 등등 주옥같은 이름들이 숫자로 탈바꿈하면서 몸살을 앓고 있다. 내 부모가 지워준 이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이를테면 8번으로 불리우는 수모를 당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안양은 결코 70년대 불도저시절 허허벌판에 시멘트를 들이부어 만든 신도시가 아니다.123456789가 아니란 말이다.

안양은 원래 수리(음)와 관악(양)의 기가 안양천에  흘러 역학적으로 사람이 살기에 가장 이상적으로 여겨져 우리지역을 "편안한"고을로 불렀을 것이다. 즉, 우리 선조들은 동네이름을 지을 때 사건이외에 지형지세의 모양을 보고 역학적으로 해석하여 불러왔다. 어느 동네이름도 아무 생각 없이 지은 것이 없다. 그렇기에 동네이름에 전설이 깃들여있으며 그 전설은 마을사람들의 생활방식을 규정짓기도 하였다. 사람의 이름을 떠올리면 그 사람의 모습이 떠오르듯이 동네의 이름을 떠올리면 그 마을의 겉모습이 떠오르는 이치이다.

이런 정신적 보존가치가 있는 동네이름이 편한 행정의 희생물이 되어, 더 이상 사람들은 과거에 대해서 얘기를 하지 않는다. 뿌리를 잃은 시멘트공간속에서 고향을 상실한 채 이방인으로서 표류하고 있다. 편한 생활을 위해 전통문화를 없앤 자리에 시멘트를 들이부어 그 위에 흙을 덮어 나무를 심고 있는데 정성을 다 한다. 그리고 그들은 예술, 문화 운운한다. 시멘트위에 심은 나무는 오래가지 않아 죽는다는 사실은 모르고 있다. 오늘 당장 편하면 그만이다. 우리는 언제까지 죽어가는 나무를 방치하고 있을 것인가? 

 

 

또 다른 글| 2007.05.13.

다음카페 동덕축구클럽에서( http://cafe.daum.net/ddscay/4OIb/671?q=%EC%95%88%EC%96%91%20%EC%98%9B%EC%A7%80%EB%AA%85 )

 

공무원,정치인들의 특성중의 하나가 사회제도를 바꾸는데 저마다 일가견을 갖고있는 사람들 같다. 바꾸는데대한 신중함과 고민이있는게 아니라 그냥 시대에 안맞는다고 쉽게쉽게 잘도 바꾼다. 그들에게 전통이란 관심도 없는것일까? 우리의 전통문화가 보존이 안된다. 실제로 정당명 변경과 교육제도변경등은 이미 기네스북에 올라와 있다.

얼마전 서울의 봉천동을 다른이름으로 바꿀 계휙이라는 기사를 읽었다.이유는 "촌스럽다"는것이다. 촌스러우면 바꾸어도 되는것인지? 그리고 그 이름이 왜 촌스러운것인지? 이런 전통에대한 의식의 무지가 우리를 슬프게 한다.

우리고장 역시 이런 공무원들의 단세포적 발상으로 오래전부터 몸살을 앓고있다. 안양이 1973년 시로 승격되면서 우리동네의 옛지명들이 123456789숫자로 개칭당하는 수모를 당했다. 장내동 냉천동 주접동 양지동 등등.... 동네를 상징하는 아름다운 우리의 이름들이 어처구니없는 일부공무원들의 발상에 의하여 사라진것이다. 이 무슨 날벼락인가? 조상대대로 내려오던(물론 부분적으로는 일제시대에 만들어진 이름도 있지만-그렇다고 전통에서 왜곡된 동네이름은 없다고 본다)옛 지명을 없애다니? 우리선조는 지명을 역사적사실을 기리거나 그 고장의 주변지형과 형세의 해석에서 따와 붙여서 그지명을 고을의  정신적 지주로 삼았다. 어떤 지명도 아무렇게나 생겨난것은 없다.그래서 지명속엔 저마다의 전설이 깃들여있으며 이런전설은 두말할것도없이 정신문화의 밑바탕이됐다.

안양은 허허벌판에 시멘트를 들이부어 만든 신도시가 아니다. 12345678이 아니란말이다.오랫동안 우리선조들이 지명에서 나와있듯이 자연을 벗삼아 살아 음양적 조화(수리-관악)가 가장 빼어나서 편안한 고을로 불러왔다.(편안하다라는 의미는 노자에서 조화롭다라는 말로 쓰임) 그 역학적의미가 각 동네이름에 구체적으로 깃들여있는것이다. 이런 정신적 중요성을 내팽겨친체, 1234...로 바꾼것이다. 생각없는 배부른 돼지가 되기싫다. 정신은 사라지고 편리와 슬럼화로 표류하는 안양. 우리에겐 전통을 중시하는 왜 일관된 철학이 없을까? 우울하기만하다.

오랫동안 고향을 떠났다가 돌아오면 제일먼저 다가오는 인상이  도시가 슬럼화되어가는 느낌이다. 왜 안양이 슬럼화 되어가지에대해 곰곰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수도권도시의 특성인 인구과밀화 문제 이전에 "전통에대한 무관심"에서 파생되는 "전통건물의 소멸화"가 주 요인이라본다. 지명 변경 역시 이런 차원에서 발상된것이다. 우리에겐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지금의 안양은 시공무원들의 구호처럼 전국에서 가장살기좋은 도시(뭘갖고 얘기하는지는 몰라도...)가 아니라는것을 알아야 한다.

정신이 사라진 도시에 그냥 아파트나 올리고 시세수입만 많이 거치면 시관리하기 편할지 몰라도 문제는 정신이 있어야 할 것을 없애버린곳에서 생기는 문제들에 무관심하다는것이다. 다가오는 후세대들이 언젠가는 걷어내야 할 뼈아픈 그늘이 길어만 져가는것이다: 전통이 사라진 도시는 정서가 존재 할 수가 없다. 우리는 유럽을 보면 알수있다. 왜 갈수록 안양이 범죄화 되어가고  특히 청소년문제가 다른도시에 비하여 유난히 심각해지는지 시공무원들은 생각해 볼 일이다. 청소년들에게 정조대왕행차를 맞이한다(주접동)는 사실을 가르칠 수없는 이 마당에 우리가 어떻게 대를 이어 전통을 보존시킬수있단 말인가? 나는 어느 누구로부터도 이를테면 부모님이 지어주신 내이름 "영일"대신에 "5번"으로 호칭당하는 수모를 당하고 싶지않다. 우리는 지금 이런 시대에 살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