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얘기/담론

[정진원]안양의 옛 마을 지명 이야기

안양똑딱이 2017. 3. 20. 15:21

[정진원]안양의 옛 마을 지명 이야기

우리나라 지명, 특별히 마을이름의 역사에서 볼 때 1914년은 마을이름의 ‘창촌개명(創村改名)’의 해였다. 일제에 의한 이른바 ‘창씨개명(創氏改名)’이 우리네 선조들을 모욕한 것이라면, 창촌개명은 우리네 땅을 더럽힌 하나의 큰 사건이었다.
 
일제는 당시 7만여 개 정도의 우리나라 마을(구동리)을 2만여 개 정도의 신동리로 통폐합하였다. 세 개 정도의 마을을 합쳐서 하나의 신동리를 만들고, 거기에 어김없이 한자 이름을 붙였다. 그때 순수소박한 우리말 마을이름이 잡종생경한 한자 동리 이름으로 바뀌었다.
  
□수푸르지 [숲골>숲울>수푸르지, 임곡(林谷)]
지금 안양역 동쪽 지역 안양1동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한 아파트 자리에 일찍이 정기시장이 형성되었다. 안양에서는 유일한 시장이었다. 그러다가 지금의 안양중앙시장이 나중에 만들어지면서 이곳은 구시장이 되었고, 얼마 지나다가 사라져버렸다.
시장의 북쪽 끝부분에 있었던 소시장터를 지나서 안양천 다리(임곡교)를 건너면 마을이 있었는데, 그곳을 ‘수푸르지’라고 하였다. 그것이 여느 동네 이름과 달라서 이상하게 느껴졌었다. 그런데 나중에 보니 그 마을 이름이 한자로 ‘임곡’임을 알게 되었다.
한자 지명 임곡(林谷)에서 그 훈(訓)을 빌려 써서 수푸르지가 된 것이 아니라, 그 역순으로 변화된 것이 틀림없을 것이다. 대부분의 순수한 우리말 마을이름이 아주 어색하거나, 당치도 않은 한자어로 바뀐 것들은 일일이 예를 들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숲이 우거진 골, 즉 임곡은 ‘숲골>숲울>수풀>수푸르다>수푸르지→임곡(林谷)’으로 부르기 쉽게 변화되었을 것이다. 두 강이 합쳐지는, 즉 ‘아우러지는’ 곳에 ‘아우라지’라는 지명이 된 것과 같은 음운 변화일 터이다.
 
□양지편 [양지말, 양지촌, 양촌, 양촌리]
우리나라의 사계절은 변화가 뚜렷하다. 겨울철이 되면 한대지방보다 더 추울 때도 있다. 그리고 우리땅의 대부분을 산지가 덮고 있어서 어디를 가든지 크고 작은 산들이 있다.
마을 자리잡기를 말할 때 흔히 ‘배산임수(背山臨水)’라고 하는데, 그것은 대개는 북쪽 뒤로 산을 등지고, 남쪽 앞으로는 넓은 벌이며, 벌 끝으로는 시내가 흐르고 있는 정경을 가리키는 말이다.
햇볕이 잘 들어서 따듯한 남향받이 산기슭에 향일성(向日性) 민초(民草)들이 모여들어 마을을 만들었다. 양지쪽에 마을이 되었으므로 동네 이름이 양지편이 되었다.
시인 박두진이 영동을 지나면서 띄웠던 편지글에서 그리던 남향받이 산기슭의 어느 마을(들)이다.
‘이 벌을 지나면 저기/남향받이 산기슭/그 다소곳한 마을에//복사꽃 오오/화안히 그/복사꽃은 피리니’
안양시 박달동 삼봉 남서쪽, 석수동, 의왕시 포일동 등지에 있다. 다른 곳에도 양지편이란 마을이름이 허다하다.
 
□찬우물 [냉천동, 냉정]
사람이 사는 데 물보다 더 중요한 것이란 없다. 물이야말로 글자 그대로 모든 것의 원형질(原形質)이며, 원천(源泉)이다. 그러므로 샘이나 우물가에 사람들이 모여 살게 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곳 중심으로 산업을 일으키고, 나아가 문명을 밝혔다. 고대문명은 모두 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나라는 특별히 ‘(마시는) 물이 좋은’ 나라라고 하였다. 무턱대고 자화자찬하는 것만은 아닌 듯하다. 물이 좋게 된 이유는 우리나라가 샘물(우물물)의 함양에 유리한 지구과학적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는데, 중부지방에 특별히 좋은 샘과 우물들이 많았다. 그래서 그런지 서울, 경기지방의 옛 마을이름에는 유난히 우물에 관련된 것들이 많았다.
우물물을 차게 느껴서 ‘찬우물’로 이름 붙이게 된 이유는 지면의 온도에 영향을 덜 받을 정도로 지층 아래 깊이 고여 있던 물을 퍼 올렸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또한 기온의 연교차가 큰 우리나라에서 무더운 여름철 한 바가지 냉수의 차가움에 더 예민했을 터이다.
안양시 안양동에 냉천동, 과천시 갈현동에 찬우물이 있고, 군포시 금정동(衿井洞)은 ‘큰 우물’에서, 당정동(堂井洞)은 ‘당집 우물’에서, 의왕시 고천동, 서울 행촌동의 골우물은 ‘골속 우물’에서 비롯된 이름들이다.
 
□뺌말 [수촌(秀村)]
‘안양-인덕원-성남 판교’ 가로에 흡사 똬리 줄기에 똬리 걸리듯이 많은 동네들이 길가에 늘어서 있었다. 부림말에서부터 시작해보자.
제법 큰 동네 부림말을 지나면 간뎃말, 조금 더 나가면 말무데미[마분동(馬墳洞)], 거기서 직진으로 나가면서 오른편으로 지금 이야기 하고자 하는 ‘뺌말’이 있었다.
거기서 다리를 건너 구리고개를 넘어 한참 내려가면 수프르지, 다리를 건너면 안양이었다. 집에는 가풍이, 학교에는 교풍이 있고, 마을에는 촌풍[마을 냄새, 아우라(aura), 지니어스 로사이(genius loci)]이 있다.
마을사람들이 자기 마을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것은 당연하고도, 좋은 일이다. 위에 말한 동네들 가운데 ‘간뎃말’을 ‘가운데’가 아니라, 큰 마을 ‘사이’에 있는 것으로 생각했었다.
그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간뎃말이 중촌(中村), 중심마을이라는 것이다. 뺌말 사람들은 뺌말은 ‘빼어난 마을’이라고 믿고 있다. 그래서 그것을 한자로 고칠 때 수촌(秀村)이라 하였다. 산천이 빼어났는지, 인걸이 뛰어났는지 알 수 없는 일이지만 하여튼 그 마을사람들은 마을이름을 자랑한다.
그런데 누구는 그런 말을 한다. 뺌말 앞을 지나다가 뺌(뺨)을 맞았다는 데서 그 마을이름이 생겨났다는 것인데, 그것은 빼어남을 부러워하는 사람의 의도적 폄훼 정도로 보아주는 게 좋을 듯싶다.
 
정진원 선생은 의왕시 포일리 출신으로 덕장초등학교(10회), 서울대 문리과대학에서 지리학과를 공부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문화역사지리학을 전공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강사를 역임하였고, 성남고등학교 교사, 서울특별시교육청 장학사, 방배중학교 교감, 오류중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박사학위논문으로 ‘한국의 자연촌락에 관한 연구’가 있다.  현재는 수필가이자 의왕시 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며 안양광역신문을 통해 과거 시흥군 지역에 대한 담론을 연재하고 있다.-편집자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