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분단되기 전 내외국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여행지로 한민족 명산으로 꼽히는 금강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선정됐다.
제 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2025년 7월 13일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회의에서 북한 측이 신청한 금강산을 세계유산으로 확정했다. 정식 명칭은 ‘금강산’(Mt. Kumgang - Diamond Mountain from the Sea)이다.
금강산 등재를 신청한 지 약 4년 만이다. 북한 측은 2021년 금강산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냈지만, 당시 코로나19 방역 상황으로 평가·심사가 이뤄지지 못했고 올해 평가 대상에 포함됐다.
북한은 금강산을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성격을 모두 지닌 복합유산으로 신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계유산위원회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지난 5월 금강산 등재를 권고했다.
금강산은 백두산과 함께 한반도를 대표하는 산으로 여겨져 왔다. 신라시대 때부터 중국에까지 명산으로 소문이 났다.
높이 1638m 비로봉을 중심으로 수많은 봉우리와 기암괴석, 폭포와 연못이 어우러지며 태백산맥 북부, 강원도 회양군과 통천군, 고성군에 걸쳐 있다.
이번 금강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로 북한 세계유산은 3건으로 늘어났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북한은 ‘고구려 고분군’(2004년)과 ‘개성역사유적지구’(2013년) 등 세계유산 2건과 인류무형문화유산 5건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국립민속박물관이 남아있는 기념품으로 금강산을 알아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오늘도, 기념: 우리가 기념품을 간직하는 이유>
- 전시 기간: 2025. 5. 27.(화)~9. 14.(일)
- 전시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 1
- 전시 주제: 기념품의 문화사로 본 한국 사회 다양한 기념의 목적 조명
- 전시 자료: 기해 기사계첩(국보), 이용익 초상화, 만인산, 신선로, 기념 수건, BTS 응원봉, 마라톤 완주 메달 등 총 200여 점
- 관람료: 무료




'안양지역뉴스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717]K-TV 저작물 전면 개방···공공저작물 자유롭게 사용 (0) | 2025.07.17 |
---|---|
[20250717]대법, '혈세 낭비' 사업 단체장이 배상하라 판결 (1) | 2025.07.16 |
[20250716]2025 한겨레 지역회복력 평가 전국 10대 도시 (2) | 2025.07.16 |
[202507010]전국 최초 시민 맞춤형 탄소중립 실천 안내서(PDF파일) (4) | 2025.07.10 |
[20250702]자연을 벗 삼는 발효연구소 <농연재> 기록 소환 (3) | 2025.07.02 |
[20250615]실시간, 전세계 지진정보 확인 플랫폼 (2) | 2025.06.15 |
[20250530]신문 1면을 투표 인증샷 용 제작한 전남일보 화제 (2) | 2025.05.30 |
[20250509]프레포스트 추기경 제267대 교황(레오14세) 선출 (1) | 2025.05.09 |
[20250426]안.군.의 우리고을 동네서점을 소개합니다 (7) | 2025.04.26 |
[20250411]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안양 옛 ‘검역원 본관’ (5)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