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해암 5

[탐사16]안양 비산동 망해암과 비행기 등대(2013.06.01)

안양기억찾기탐사대가 16번째 여정으로 찾은 곳은 안양8경중 제1경인 망해암 일몰이 멋진 비봉산 자락의 망해암과 비행기등대인 무선표지국이다. 망해암(望海庵)은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 241-54번지 관악산 동남기슭에 위치하는 조계종 사찰로 망해암에서 바라본 일몰은 안양시가 선정한 안양8경중 제1경이다. 서울에서 출발하면 1번 국도를 타고 평촌에 이르기 직전 대림대학 방향으로 좌회전 한다. 대림대학 정문을 지나 마을길을 따라 계속 가다가 마을이 끝 날 때 쯤 부터 산길로 약 2㎞정도 오르면 된다. 소형차는 망해암까지 들어갈 수 있지만 산행삼아 관악산의 수려한 경관을 즐기며 2㎞ 정도 걷는 것도 좋을 것이다. 망해암에 오르면 안양시가지(만안구)가 한 눈에 들어온다. 탁 트인 시야 때문에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안양]안양 8경중 제1경 망해암에 대한 이야기

망해암(望海庵)은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 241-54번지 관악산 동남기슭에 위치하는 조계종 사찰이다. 서울에서 출발하면 1번 국도를 타고 평촌에 이르기 직전 대림대학 방향으로 좌회전 한다. 대림대학 정문을 지나 마을길을 따라 계속 가다가 마을이 끝 날 때 쯤 부터 산길로 약 2㎞정도 오르면 된다. 소형차는 망해암까지 들어갈 수 있지만 산행삼아 관악산의 수려한 경관을 즐기며 2㎞ 정도 걷는 것도 좋을 것이다. 망해암에 오르면 구 안양시가지가 한 눈에 들어온다. 탁 트인 시야 때문에 시원함을 느낄 수 있으며 절은 기암괴석들 사이로 건물들이 옹기종기 놓여있다. 최근에는 앞에 대형 누각건물을 지어 마당공간을 확보했다. 1986년에 새워진 에 따르면 망해암은 신라문무왕5년(665)에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

1973년 안양 망해암행 안양천 건너던 줄배

#응답하라 #1973 #안양 #양명고 #안양천 #나무다리/ 1970년대 초 안양천을 건너던 줄배입니다. 당시 안양천에는 물이 많았답니다. 이 배가 운행되던 곳은 현재의 양명고앞인데 먼길을 돌아다녀야 했던 주민들과 여름철에는 안양유원지로 가고자 하는 이들이 이배를 타고 건너가기도 했지요. 이후 1970년대 중반에는 안양2동 토박이 김귀연 전 안양2동 주민자치위원장 부친께서 나무다리를 놓아 양명고 학생들의 통학을 위해 애쓰셨지요. 평소에는 나무다리라도 건너 등하교를 할 수 있었지만 여름철 비라도 많이 내려 물이 불어나면 다리가 잠기거나 다리가 물에 떠내려가면 비산동 임곡교 또는 안양유원지쪽으로 빙 돌아다녀야 했답니다. 안양천은 60-70년대 초만 해도 은모래가 깔려있고, 어항을 놓아 물고기도 잡고, 멱도 감..

1960년대 안양 망해암 가는 길목 오시오매점

#안양 #응답하라1960 #추억 #기억 #과거 #옛이야기#안양 #망해암/ 1950년대 안양천(현 양명여고)에서 망해암 올라가는 길목에 있던 매점이다. 1950-70년대 안양읍내에서 연인들이 데이트, 밀회를 할만한 곳을 찾기란 쉽지 않았다. 그나마 안양유원지, 청계호수(현 백운호수), 그리고 안양천 모래가 쌓인 삼각주의 미루나무숲(당시 한국특수제지 옆)과 망해암 등이 인기 코스였다. 당시 안양시내에서 망해암을 가기 위해서는 차가 한대 겨우 지나갈 비산동의 수푸루지 다리와 수푸루지 마을을 지나 바포장 산길을 올라가기도 했지만 너무 멀어 안양천을 건너 곧바로 멍해암으로 오르는 산길을 택했다. 가는 길을 보면 만안초교 건너편에 있던 안양 최초의 극장인 화단극장옆으로 철길을 건너고 안양천을 나무다리, 여름철 물이..

1970년대 초반의 비산대교 가설 공사

안양 만안구와 동안구를 연결(안양 중앙로에서 산업도로와 관악로) 하는 비산대교(길이 98m) 공사가 한창인 1970년대 초반의 모습으로 안양천을 동서로 가로질러 교각만 세워져 있습니다. 사진 좌측은 안양 만안구쪽 우측은 이마트 쪽으로 뒷쪽으로는 망해암이 있는 비봉산과 수푸루지 마을이 보이는 것을 볼때 안양7동 덕천마을 쪽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현재 대림매학이 들어선 비봉산에는 산 증턱까지 판잣집이 들어선 것이 살기 힘들었던 당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출처 안양역사사료관 비산대교는 1975년 6월25일 당시 안양동 지역(현재 만안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비산동 지역 개발과 교통량 증가에 발맞춰 동서축을 연결하는 교량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다리를 세웠으며 동서 연결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