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126

1934년 안양역앞 미륵불 의왕 용화사에 있다

1934년 2월 20일 경기도 안양의 안양역 앞에 있는 미륵당. 이 사진은 민속학자인 석남 송석하가 촬영한 것으로 유족들이 당시의 자료들을 지난 1996년과 2005년 2회에 걸쳐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하고 박물관측이 최근 '처음으로 민속을 찍다' 제목의 전자책(DVD)으로 펴냄에 따라 실체를 드러낸 것으로 3컷이 수록되어 있다. 현재 의왕 용화사에 있는 미륵불. 안양역 앞에 있던 미륵불이 본백화점이 자리했던 용화사에 이어 현재의 자리로 옮겨졌다. 하지만 많은 변형으로 과거의 형태와 완전히 다른 것 같은 미륵불의 모양이다.

1934년 안양역앞 미륵당과 미륵불 이야기

1934년 2월 20일 경기도 안양의 안양역 앞에 있던 미륵당. 옆 가게에 안양음식점과 술이라는 글씨가 뚜렷하게 보인다. 이 사진은 민속학자인 석남 송석하가 촬영한 것으로 유족들이 당시의 자료들을 지난 1996년과 2005년 2회에 걸쳐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하고 박물관측이 최근 '처음으로 민속을 찍다' 제목의 전자책(DVD)으로 펴냄에 따라 실체를 드러낸 것으로 3컷이 수록되어 있다. 미륵당에 있던 미륵불은 인근에 지어진 용화사 마당으로 옮겨진다. 안양 도심(현 안양CGV 사거리 대동서점이 있는 건물)에 있던 용화사는 1943년 금강산에서 오신 화응 큰스님이 창건한 사찰로 1983년 4월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337-6번지로 이전하였다가 인근에 아파트가 조성되자, 의왕시 내손동 827번지 종교용지를 매입..

1934년의 안양역앞 풍경(안양주막)

1934년 2월 20일 경기도 안양의 안양역 앞에 있는 미륵당. 옆 가게에 안양음식점과 술이라는 글씨가 뚜렷하게 보인다. 이 사진은 민속학자인 석남 송석하가 촬영한 것으로 유족들이 당시의 자료들을 지난 1996년과 2005년 2회에 걸쳐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하고 박물관측이 최근 '처음으로 민속을 찍다' 제목의 전자책(DVD)으로 펴냄에 따라 실체를 드러낸 것으로 3컷이 수록되어 있다

1970년대 초반의 안양유원지 입구 풍경

#안양 #안양유원지 #1970년대 / 사진속 풍경은 1970년대 안양유원지 초입의 모습이다. 1950-1980년 안양유원지는 수도권 주민들의 인기 피서지중 한곳이었다. 특히 1970년대에는 삼성천 계곡을 따라 대영풀장, 맘모스풀장, 안양관광호텔수영장, 만안각수영장들이 줄줄이 들어서 수영하기는 좋았던 반면 지하수를 마구잡이로 뽑아쓰면서 게곡의 수량이 줄어들고, 쓰레기 등으로 몸살을 앓기 시작하는 등 유원지가 점차 훼손되는 계기가 된다. / 사진제공-이정범 선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