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3/ #아카이브 #고지도 #해동지도 #금천현 #규장각 #시흥군 #과천 #안양 #군포 #의왕/
海東地圖 해동지도 (고대4709-41)_금천현
편저자 : [作者未詳]
청구기호 : 古大4709-41-v.1-8
간행연도 : [18世紀(英祖 年間:1724-1776)]
책권수 : 8帖
판본사항 : 筆寫本
해동지도(제작시기: 1750년대 초, 규격: 47.0×30.5cm, 구성: 8책)는 1750년대 초에 제작된 회화식 군현지도집. 이 지도집에는 조선전도, 도별도, 군현지도 뿐만 아니라 세계지도(<천하도>), 외국지도(<중국도>, <황성도>, <북경궁궐도>, <왜국지도>, <유구지도>), 관방지도( <요계관방도>) 등이 망라되어 있다. 민간에서 제작된 지도집이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을 결정하는 데 활용된 관찬 군현지도집이다. 제8책의 팔도총도와 제 4책의 서북피아양계전도는 회화식 대형 전도이며, 나머지 대부분의 지도들은 도지도, 도별 군현지도, 도내 군사적 요충지의 지도 순으로 편집되어있다. 해동지도는 당시까지 제작된 모든 회화식 지도를 망라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금천현 해설]
고려 초에 衿川縣이 되었다. 조선 태종때 果川과 합하여져 衿果縣이 되었다가 분리되었으며 다시 陽川縣과 합하여져서 衿陽縣이 되기도 하였다.이 지도 제작 이후의 정조대에 이르러 始興이 되었다. 한강의 이남에 있으며 안산, 과천, 양천, 인천과 경계를 이루었다. 현재 서울특별시의 영등포구, 구로구, 관악구, 금천구, 동작구 일부지역과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 일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縣의 중심지는 금천구 시흥동이 된다. 三聖山이 鎭山으로 이 산의 三幕寺는 세 명의 대사가 각각 절을 짓고 살았다하여 생긴 이름이다. 縣의 북쪽에 한강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 지도에서는 아래에 그렸다. 남쪽을 위로 하여 그린 지도이다. 산과 하천, 도로를 중심으로 그렸으며 邑治의 내부와 행정구역명은 지도에는 생략하여 간략하게 작성하였다. 주변의 산들은 모두 邑治를 바라보는 형태를 취하였다. 도로는 적색으로 표현하였으며 水原과 露梁津을 연결하는 大路, 인천, 안산, 과천, 양화진으로 연결되는 도로를 표시하고 있다. 그 밖에 古城의 터와 陵墓 등이 지도에 표시되어 있다.(이현군)
출처: 서울대 규장각 지리지종합정보
https://kyujanggak.snu.ac.kr/geo/main/main.jsp?listcnt=10&sort=#null
규장각 지리지 종합정보
kyujanggak.snu.ac.kr
지도 크게 보기:
:: 이미지 상세보기 ::
kyujanggak.snu.ac.kr
'타임머신 > 옛지도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223]海東地圖(해동지도) 과천현 (0) | 2025.02.23 |
---|---|
[20250223]1907년 대한신지지(大韓新地志)속 경기도 (0) | 2025.02.23 |
[20250223]1918년 경기도(京幾道)지도속 시흥군 지형 (0) | 2025.02.23 |
[20250223]1934년 남한특산물지도(南韓特産物地圖) 시흥군 (0) | 2025.02.23 |
[20250223]1918년 군포장(軍浦場)지도속 옛 물줄기 (0) | 2025.02.23 |
[20250222]1912년 시흥(始興) 지도속 과천.안양.군포 (0) | 2025.02.23 |
[20250222]1918년 京城 지도속 안양천 표기와 물줄기 지형 (0) | 2025.02.22 |
[20250218]1972년 1월 발행 안양.수원 안내도 (0) | 2025.02.18 |
[20260217]안양면 표기 1940년대 발행 추정 경기도전도 (0) | 2025.02.17 |
[20250217]일제강점기 발행 조선신지도속 안양권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