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사진기록/골목풍경

[20231115]안양예술공원 벽천광장의 버즘나무

안양똑딱이 2023. 11. 16. 14:47

 

2023.11.15/ 도시기록 #안양예술공원 #벽천광장 #버즘나무 #방울 #플라타너스 #버즘나무 #방울나무/

 

안양예술공원 벽천광장 파빌리온 앞에 우뚝 서있는 라타너스(platanus)라는 학명으로 불리우는 버즘나무.

버즘나무는 대도시 가로수나 공원수 또는 역사가 오래된 학교에 많이 심어졌는데 무성한 잎과 이슬비 정도는 막아줄 정도의 어른 손바닥의 3배 정도 되는 넓은 잎으로 한여름 태양볕을 가려주기에 무더운 여름날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주는 참으로 고마운 나무이다.
버즘나무 종류는 튼튼하고 빨리 자라는 나무다.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라고 추위에도 강하다. 상처를 입어도 스스로 낫는 힘이 강해서 여간해서는 죽지 않는다. 나쁜 공기에도 잘 견디고 먼지나 공기 중에 중금속 유해물질 등 나쁜 물질까지 빨아들이는 놀라운 나무이다.
우리나라에서 버즘나무를 ‘정토수(淨土樹)’라고 부르는 데서 알 수 있듯이 토양을 정화시키고 공해에 잘 견디기 때문에 버즘나무 종류는 도시 가로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열매가 하나씩 달리는 양버즘나무가 은행나무와 더불어 가장 흔하게 식재된 가로수이다. 도시환경이 열악한 곳일수록 더욱 그렇다. 하지만 요즘에는 버즘나무의 꽃가루가 사람들을 괴롭힌다는 이유로 심기는 커녕 잘려나가는 경우가 더 많다.
이 나무는 원산지가 유럽 남서부 지역과 서아시아로 되어 있는데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온지는 100여년 정도 된다. 기록은 없지만 서울-안양-수원간 옛 1번국도(현 만안로)에도 수령이 제법 되는 플라너스 나무들이 가로수로 심어져 있는걸 보면 꽤 오랜된 듯 싶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버즘나무에는 대략 3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버즘나무이다. 플라타너스라고 흔히 부르는데 잎이 깊게 갈라지고 열매가 서너 개씩 달린다. 나무껍질은 큼지막하게 벗겨진다. 다른 하나는 양버즘나무이다. 미국플라타너스라 부르는 사람도 있다. 잎은 버즘나무에 비해 덜 갈라지고 열매가 한 개씩 달린다. 나무껍질은 작은 조각으로 벗겨진다. 마지막으로 이 둘 사이의 잡종인 단풍버즘나무가 있다. 단풍플라타너스라 부르기도 한다. 잡종이다 보니 두 나무를 골고루 닮았다. 열매 개수도 중간이다.
플라타너스 나무는 워낙 적응력이 좋아서 다른 나무들이 감히 들어가지 못하는 곳에서도 기꺼이 잘 자란다. 버즘나무 목재는 참나무 목재 만큼 단단하지만 훨씬 덜 가치 있게 여겨져 반죽밀대와 나무수저를 만드는데 쓰였다고 한다.
플라타너스는 언젠 부터인가 버즘나무로 불리우기 시작했다. 버즘나무의 수피를 보면 껍질이 벗겨진 부분에 하얀버즘이 핀 것처럼 얼룩덜룩 벗겨진 모습이기 때문이다. 요즘은 ‘버즘’이 무엇인지 아는 사람이 드물지만 1950년∼60년대 영양부족으로 많은 아이들 머리나 얼굴에 피부병 같은 버즘들을 갖고 살았다. 아마 영양이 부족한 것과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었을까 싶다.
또 버즘나무를 방울나무라고도 불리우는데 해마다 가을이 되면 지름 3~4cm 정도 되는 방울처럼 생긴 열매가 나뭇가지에 주렁주렁 달려 특별한 장난감이 없던 시절 짓궂은 장난감이었다. 그 방울은 가을에 땅바닥에 떨어지면서 그안에 있는 씨앗들이 사방으로 흩어지지만 겨울철 내내 공중에 매달려 있기도 한다.
버즘나무는 우리가 알고 있는것 보다 훨씬 풍성한 나무이다. 나무가지가 사방으로 넓게 뻗어 나가고 잎이 넓어 나무 자체 만으로도 풍성하지만 버즘나무의 자체에서 수액이 많이 나와 진딧물 같은 단물을 좋아하는 곤충들의 천국이다. 이에 어떤 때는 무슨 나방의 애벌레인지 엄청나게 많은 벌레들로 인해 나무밑을 지나기가 꺼림칙하기도 한다.
버즘나무는 가지치기에도 아주 강하다. 그러지 않고서야 연례행사처럼 벌어지는 온몸이 잘려나가 닭발을 연상케 하는 무지막지한 강전지 가지치기를 견디어 내니 말이다. 안양역에서며악역까지 이어지는 옛 1번국도(만안로)구간의 도로 양쪽에 심어진 버즘나무 가로수를 보면 처참할 정도로 가지가 잘려 나간 모습에 눈살이 찌푸려지기도 한다 .
참고문헌
1. 이범영 정영진(1997) 한국수목해충 성안당. 459쪽.
2. 윤주복(2005) 나무 쉽게 찾기 진선. 687쪽.
3. 허북구 박석근 이일병(2004) 재미있는 우리나무 이름의 유래를 찾아서 중앙생활사. 343쪽.
4. 민성환, 우리는 그를 방울나무라고 불렀다! 은평시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