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옛사진읽기

[20231013]안양에 세번째 생긴 삼원극장의 1972년 모습

안양똑딱이 2023. 10. 14. 00:26

2023.10.13/ #기록 #기억 #옛사진 #삼원극장/ 국가기록원에서 찾아낸 안양 삼원극장의 모습으로 경기도경찰청에서 1972년에 촬영한 사진이다. 1970-60년대에는 경찰 정보 차원에서 각 도시의 중요 시설과 건축물들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또 각관은 물론 시설이나 개인이 보유한 봉고차 또는 트럭까지 전쟁 발생시 동원할수 있도록 명부에 등록하기도 했었다.

사진속 영화관 벽면의 판에는 상영작과 예고작의 영화 광고판이 걸려있다. 영화 홍보 방식이 아날로그 시절이었던 그때에는 영화를 알리기 위해 대형 간판에 영화 타이틀과 출연진, 대표 컷을 그려 상영작을 소개하고 예고편을 '다음'작으로 영화관 앞에 내걸었는데 어느 극장이 실감나게 그리는가도 주 관심꺼리로 그림을 잘 그리는 간판쟁이를 스카웃하기도 했다

오른쪽 현재 상영작 광고판에는 글씨와 그림이 번져 어떤영화인지 알수가 없다. 반면 왼쪽 예고 영화 광고판에는 1972년 제작한 이두용감독의 로멘스.멜로 영화 "웃고사는 박서방"(92분) 간판이 내걸렸다. 출연 배우는 박노식, 신성일, 윤정희,  김희라, 정헤선. 김경수 등 당시 최고의 쟁쟁한 인물들이다.

당시 극장 영화 광고판은 아주 중요했다. 자주 보수하고 자주 교체해 말끔하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주인공 얼굴을 실감 나게 그렸다. 주인공 얼굴을 얼마나 닮게 그리느냐가 일류와 이류를 판가름하는 잣대였다.

극장에는 간판을 그리는 미술실이 있었다. 보통 대다수 극장에는 그림을 그리는 미술부장 한명이 근무했지만 대형극장에은 미술부장과 조수 한두명이 있던곳도 있었다. 미술실은 극장 지하나 복도 끝에 미술실이라 크게 써 두고 작업했는데 다른 물감은 안 쓰고 페인트만 썼다. 안료도 같이 썼는데 색깔을 강하게 하는 첨가제였다. 일반 물감과 비교해 페인트가 질은 떨어졌지만 그런 것에 구애받지 않고 그림은 귀신같이 잘들 그렸다. 여러 페인트를 섞어 색도 다양하게 냈다. 영화가 자주 바뀌니 간판도 자주 바뀌었다. 간판을 다 그려 놓은 상태에서 영화사와 극장 사이에 이견이 생겨 프로가 갑자기 바뀌면 밤샘을 하기도 했다.

미술부장이 하는 일은 간단하면서도 중요했다. 간판 하나를 그리는 데 있어서 미술부장이 하는 일은 아주 제한적이다. 밑그림은 아랫사람이 다 그리고 부장은 바깥에서 시간을 죽친다. 그러다가 완성하기 직전, 그러니까 간판을 올리기 직전에 들어와 한두 군데 점을 찍고 선을 긋는 게 전부다. 화룡 정점인 셈이다. 그런데 그 점 몇 점, 선 몇 선이 영화 간판 수준을 좌우하고 극장 수준을 좌우한다. 점과 선 몇 개로 주인공 얼굴이 주인공 얼굴로 보인다. 생생하게 살아난다. 희한하다. 그러기에 미술부장 자리는 감히 넘보지 못하는 자리였으며 타 극장의 스카웃 대상이기도 했다.  

사진속 삼원극장은 화단극장, 읍민관(안양극장)에 이어 안양에 세번째 생긴 극장으로 안양읍 시절인 1960년대부터 40여년간 시민들의 사랑을 받아왔던 곳이다. 198-90년대 가난했던 시절에 영화가 서울과 동시개봉되기도 했는데, 서울개봉관 보다 입장료가 많이 저렴해 학생들이 서울에서 영화를 보기 위해 안양으로 원정을 오기도 했다.
1950-70년대 자그마한 도시 안양에는 개봉관이나 다름없는 극장이 3곳이나 있었다.
안양 최초의 극장은 1953년 3월에 개관한 화단극장(540석)이며 두번째 극장은 공공실내행사용으로 1958년 무렵 지어진 읍민관으로 1960년대 가끔 영화상영을 하다 1960년대 중반 일반에 매각된후 1969년 6월29일 안양극장(780석)으로 개관했으며 1980년대 새 건물을 짓고 영화관을 계속 운영하다가 2005년 폐관되어 없어졌다. 세번째 극장은 1970년 2월 1일 개관한 삼원극장이다. 이들 3곳의 극장들은 1970년대 후반까지 3관 체제로 운영되며 개봉관 역할도 하면서 호황을 누렸다.
안양의 극장들은 1990년대 자그마한 규모의 소극장까지 합치면 10곳에 달했다, 1950년대부터 안양에 극장들이 많았던 이유를 분석해보면 수도영화사의 홍찬이 동양의 헐리우드를 꿈꾸며 안양 석수동(현 석수현대아파트 자리)에 동양 최대 규모의 안양영화촬영소(이후 신필름으로 바뀜)를 신축하기 위해 1956년 10월17일 정초식을 할때 이승만 초대 대통령까지 참석했을 정도였다. 참고로 정초식(定礎式)이란 건축물을 세울 때, 기초 공사를 마치고 머릿돌을 설치하여 공사 착수를 기념하는 서양식 의식을 말한다.
안양영화촬영소 옆으로는 국내 최초로 영화배우를 양성하던 안양영화예술학교(현 미림아파트 자리)가 자리하는 등 당시 안양에서 시작된 영화 산업과도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삼원극장은 190년대말 건물이 헐리면서 폐업되어 사라진다. 그 자리에는 2001년 11월 28일 착공식을 갖고 2004년 4월 완공한 16층 규모의 복합 테마 쇼핑몰 상가(안양일번가)가 들어서고 안양CGV(2004년 4월28일 개관)가 9층에서 12층까지 4개층(1-3관 5-8관)을 멀티플랙스 상영관으로 사용하면서 삼원극장에 이어 영화상영의 맥을 잇는다.

안양일번가 쇼핑몰은 안양의 부림상호 신용금고가 설립한 (주)일번가에서 시행하고 제일제당 그룹의 CJ개발주식회사 책임시공했으며 미국 CM업계 1위인 한미퍼슨스주식회사가 감리 및 건설관리를 맡았다. 

멀티플랙스관으로 문을 연 안양CGV는 초창기에 관객이 많았다.  4~6층에는 교보문고 안양점(2005년 5월 개업)도 있었고, 극장 아랫층에는 식당가도 있었다. 16층에는 대형까페(찻집형태 대중문화공간 민들레영토)도 있었는데 야경이 멋있어 밤늦게까지 손님 발길이 이어지면서 건물도 상당히 붐비었다. 하지만 2014년에 CGV 가맹 계약이 끝나 롯데시네마로 바뀌고 평촌신도시에 대형영화관들이 새로 들어서면서 극장 영업이 불황에 빠지고 2014년 민들레영토가 문을 닫고 교보문고 마져 2017년 4월30일부로 영업을 종료하면서 건물 자체가 생기를 잃어버리며 공실만 늘어나게 된다. 코로나19와 함께 불어딕친 안양일번가와 안양역지하상가의 대규모 공실 사태와 상권의 불황은 이때 이미 예고된것이다. 

많은 분들이 삼원극장과 얽힌 추억과 기억들이 갖고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을 통해 공유해주시면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