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11.06/ #기록 #흔적 #박스속자료 #우리밀 #회원증 #오래된것 #sine1994/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 회원증서. 오래된 박스를 열어보고 옛 수첩들을 뒤적이다 니온 옛자료.
1982년 밀 수입 자유화, 1984년 국산 밀 수매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1970년대만 해도 15% 정도를 유지했던 밀 자급률이 1990년에는 0.05%까지 떨어져 사실상 우리 밀 농업은 사망 상태에 이르렀다.
1984년 밀 수매 폐지 이후 2007~2008년 세계 곡물파동이 있기까지 농림부 정책에서 ‘밀’은 등장하지 않는다.
정부의 외면 속에서 그대로 씨가 마를 뻔했던 우리 밀은 1989년 가톨릭농민회와 한살림이 손을 잡고 경남 고성군 두호마을의 24개 농가 1만500평에 우리 밀 씨를 뿌리면서 다시 싹을 틔우기 시작했다.
그해에 심은 밀 씨로 이듬해 227가마를 거두었다. 이것을 한살림에서 모두 수매해 소비자조합원들에게 공급한 것이 우리 밀 살리기 운동의 시작이다. 이후 16만 명, 36억 원의 성금이 모아져 우리 밀 살리기 운동은 전국으로 번지게 되었다.
'최알퐁소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1030]연성대 시각디자인과 안양멋길 G-SOLVER 자문 (0) | 2025.10.30 |
|---|---|
| [20250929]10테라 외장하드 자료 복구해 준 안양의 전문가 (0) | 2025.09.29 |
| [20250929]고장난 노트북 SSD 1테라 추가 업그레이드 하다 (0) | 2025.09.29 |
| [20250929]망원렌즈 맞물려 사용하던 카메라(EOS 100D) 사망 (0) | 2025.09.29 |
| [20250925]에코샵 홀씨 새소리 시계 새것 보내줘 감사합니다! (0) | 2025.09.25 |
| [20250830]'평평한땅 울퉁불퉁한이야기' 전시 도록을 받다 (0) | 2025.08.30 |
| [20250817]안양유치원 졸업 보육증서(1964년) (3) | 2025.08.17 |
| [20250607]30년 이상 사용중인 오래된 물건 찾아보았더니 (0) | 2025.06.07 |
| [20250518]안양박물관에 16mm 영사기 기증 감사패 받다 (1) | 2025.05.18 |
| [20230921]최병렬, "제38회 안양시 시민대상을 받았습니다" (0) | 2023.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