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사진기록/골목풍경

[20250426]근대문화유산인 안양 옛검역원 본관동 외벽 부조

안양똑딱이 2025. 4. 26. 19:18

 

2025.04.24/ #기록 #안양 #건축물 #부조 #옛검역원/ 1962년 신축한 옛검역원 본관동 건물 외벽에는 시선을 끄는 톡특한 형태의 콘크리트 부조 작품이 있다.

 

안양시 안양6동에 자리한 옛검역원 부지에는 구)농림축산검역본부가 있었다. 이곳은 국내.외 축산식품에 대한 위생관리와 검역 실시, 축산농민들을 위한 가축질병의 예방, 퇴치 및 해외 악성 가축 전염병의 유입방지 업무를 수행하는 농림수산부식품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1962년 안양가축위생연구소 이름으로 문을 열었던 곳이다.

 

안양가축위생연구소는 1998년 국립수의과학검역원, 2011년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2013년 농림축산검역본부로 명칭이 바뀌었고, 2009년에는 안양에서 국립수의과학검역원 100주년 기념식을 갖기도 했다. 2005년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에 따라 2016년 4월 74년만에 안양을 떠나 경북 김천으로 이전하면서 안양시가 매입했으나 부지 활용과 관련하여 4차례나 용역을 실시했음에도 정치인들의 안양시청 이전 선거공약에 함몰된채 부지 활용은 10년이 넘도록 표류하고 있는 상태다.

 

옛 검역원 본관동은 2023년 제7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APAP)의 실내전시가 개최되며 잠시 개방되었다. 이 과정에서 가장 먼저 관람객을 맞이하는 본관동 건물 벽면의 부조 작품이 큐레토리얼팀에 의해 광화문 이순신 상으로 잘 알려진 김세중(1928-1986) 조각가의 도안 작품으로 확인되며, 수의역사학 및 미학적으로 안양의 공공예술의 효시로서 중요한 자료로 소개되었다. 

 

근대문화유산으로 등록문화재로 등록하여 보존 필요성이 제기된 본관동 건축물은 현대건축을 이끈 한국 건축학계의 원로 故 이광노(1926~2018) 교수가 설계한 작품으로  <2003 안양시 건축문화상>, 2014 경기도가 발간한 『지도로 보는 아름다운 경기건축』에 수록되며 근대 건축 유산으로 시민들과 만났던 공간이다.

 

이광노 교수는 근대시대 건축계의 리더로서 1949년부터 1987년까지 현역시절 국회의사당 기본설계, 남산 어린이회관, 혜화동 서울대학병원. 삼성빌딩, 주한중국대사관, 아산재단 중앙병원 등 170여졈에 달하는 건축물을 설계한 인물로 서울대학교 건축과 교수로서 대한건축학회 회장을 맡았을 1987년에는 저렴서민주택개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하여 서민들의 요구를 담는 디자인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1955년 그의 아호를 딴 무애(無涯)건축연구소를 설립해 운영하다 문을 닫았다. 

 

본관동 건축물 핵심은 건물 꼭대기 전면 벽에 설치된 큰크리트 부조다. 건물 신축시 가축 방역, 수출입 동식물 등의 검역 등을 수행하는 정부 기관인 가축위생연구소 공간성을 반영한 작품으로 부조에는 소, , 돼지, 토끼, 토끼, 닭 등을 비롯한 주로 실험체로 쓰이던 동물과 함께 비커, 플라스크 등의 실험 도구와 실험실을 뜻하는 는 ‘Laboratory’라는 단어도 새겨져 있다.

 

1960년대의 조각이라고 하면 기념비로 제작되는 인물상이 대부분이었는데, 이 부조는 연구소에서 인간을 위해 실험체로 사용되며 목숨을 잃는 동물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역사적인 인물을 선전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기념비들이 대부분이던 이 때, 동물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라는게 당시에는 매우 생소하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오랜기간 동안 이 부조의 작품을 만든 작가로 농림축산검역본부 발행 인쇄 자료뿐 아니라 안양시사, 언론매체, sns 인터넷 등 각종 자료에 김문기 또는 백문기의 이름이 표기됐으나 2023년 안양공공예술프르젝트(APAP7) 큐레토리얼팀이 검역원 본관동에서 행사를 개최하면서 부조에 대한 조사작업을 벌인 결과 그둥안 알려진 것과 다른 사실을 찾아냈다.

 

APAP7 큐레토리얼팀 큐레이터들이 작자 기록이 정확하게 남아 있지 않은 이 작품의 창작자를 찾기 위해 수개월동안 지속적인 조사를 거친 결과 건물 설립 당시 부조 제작 담당자였던 박근식 소장의 자서전에 조각가 김세중이 도안한 것으로 거론 검역본부 건축가인 이광노와 김세중이 지속적인 교류를 해 온 점 부조 제작과 비슷한 시점에 해당 작품과 유사한 혜화동 성당의 ‘최후의 심판도 제작 등을 근거로 APAP7을 통해 최종적으로 ‘김세중 도안, 작자 미상’으로 대중에게 공개했다.

 

이후 옛 가축위생연구소 본관동 건물 부조와 조각가 김세중 연관성을 확인한 김세중미슬관은 1년여 검토끝에 2024년 학술포럼을 개최하여 각게 전믄가들과 함께 검역원 부조가 겜세중 작품임을 공식적으로 세상에 알리고 검역원 본관동 건물도 등록문화재로 지정받아 보존해야 한다는  뜻을 모으게 되었다.

 

검역원 본관동 건축물이 한국 건축학계의 원로로서 국회의사당을 설계한  이광노 건축가의 작품으로, 본관동 외벽의 부조가 광화문 이순신장군 동상을 제작한   김세중 조각가의 작품으로 드러나고 더불어 본관동 앞 정원은 국내 최대 왕개미 서식지로 초대 국립생태원장을 역임한 최재천 박사가 생태적 가치가 있는 장소임을 확인한바 있다.

 

이와관련 전문예술인들로 구성된 안양예총에서는 지역 전문예술인들의 다양한 예술 창작활동 및 시민들의 문화예술 활동을 위한 공간으로의 필요성을 피력하고 있다.

 

또한 APAP7 큐레토리얼팀 큐레이터들과 전문가및 시민들은   조각가 김세증 선생이 도안한 본관동 벽면 부조와 근대 건축사 설계의 본관동 건물이 근대문화유산 지정 또는 등록문화재로 등록해 보존해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한국내셔널트러스트가 보존가치가 높지만 훼손위기에 처한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선정해 알리는 시민 캠페인 "이곳만은지키자"에 응모한다.

 

옛 검역원의 문화적, 생태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발족한 안양 검역본부 본관동과 작품 보존을 위한 모임(가칭)’에서 한국내셔널트러스트가 매년 개최하는 보전대상지 시민공모전 이곳만은 지키자!’에 응모한 결과, 무려 15만2466명의 누리꾼이 조회를 하고 176명이 추천하고 83명이 댓글을 다는 등 관심과 보전을 지지하는 의견이 엄청나다 싶을 정도로 뜨거웠다.  

 

그 결과 한국내셔널트러스트가 10월22일 발표한 제22회 이곳만은 지키자! 수상작 7곳중 한곳으로 안양 (구)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동(응모자 김원영, 김한별, 이후성팀)이 선정돼 오는 11월 23일 오후3시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삼각지역) 지하 1층, 모이다홀에서 수상하는 쾌거를 거두며 본관동 및 정원의 생태·문화적 보존과 활용 요구에 큰 힘을 얻게됐다.

 

또한 최근에는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약칭 근대도시건축연구회) (사)새건축사협의회는 안양 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의 가치 보존과 지역 재생”을 주제로 2025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하고 나섰다.

 

 

 

[20250411]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안양 옛검역원

https://ngoanyang.or.kr/10109 


{KBS
뉴스]‘‘방치된 근대유산 안양 구 농림축산검역본부보존해야

입력 2024.11.02 (07:35)

수정 2024.11.02 (07:42)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096759

 

‘방치된 근대유산’ 안양 구 농림축산검역본부…“보존해야”

[앵커] 경기 안양에 있는 방치된 공공건물의 외벽이 광화문 '이순신 동상'을 만든 조각가 김세중의 작품이...

news.kbs.co.kr

 

2023.10.05/ #동물부조 #김세중 #안양 #옛안양가축위생연구소/ 

유튜브 영상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gRvAGDEF3JA

 

[20230901])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동 부조 작품 조사하다

https://anyangbank.tistory.com/8156

 

[20230901]구)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동 부조 작품 조사하다

구)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동 부조 작품에 담겨진 이야기 실체를 조사하다 경기 안양시 안양6동에 자리한 구)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동은 1960년대 이광노 교수가 설계한 근대건축 유산으로, 건물

ngoanyang.or.kr

 

 

 

[20241022]안양 옛검역원 문화적 가치 토론 학술 포럼

https://anyangbank.tistory.com/9585

 

[20241022]안양 옛검역원 문화적 가치 토론 학술 포럼

현재 유휴공간으로 안양6동 자리한 (구)농림축산검역본부_옛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하 옛검역원)의 문화적 가치와 활용 방안을 논하는 학술 포럼이 김세중미술관이 주최.주관하고 한국문화예

ngoanyang.or.kr

 

 

 

[20241022]안양 옛검역원 본관 "이곳만은 지키자!" 수상작 선정

https://anyangbank.tistory.com/9586

 

[20241022]안양 옛검역원 본관 "이곳만은 지키자!" 수상작 선정

안양 (구)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동(응모자 김원영, 김한별, 이후성팀)이 한국내셔널트러스트가 10월22일 발표한 제22회 이곳만은 지키자! 수상작 7곳중 하나로 선정됐다.   환경부와 한국환경

ngoanyang.or.kr

 

 

 

[20241101]정부가 1964년 안양에 신축한 가축위생연구소 본관

https://anyangbank.tistory.com/9610

 

[20241101]정부가 1962년 안양에 신축한 가축위생연구소 본관

2024.11.01/ #아카이브 #옛사진 #구농림축산검역본부 #구국립수의과학검역원 #옛가축위생연구소 #안양 #sine1964 #만문누리/ 정부가 1962년 안양6동에 새 둥지를 마련한 공공기관 가축위생연구소 본관

ngoanyang.or.kr

 

 

 

[20240117]옛 국립수의과학검역원 톺아보기(2018.09.17.)

https://anyangbank.tistory.com/8647

 

[20240117]옛 국립수의과학검역원 톺아보기(2018.09.17)

경기문화재단/ 경기그레이트북스 18 경기도 근현대 생활문화 II 양훈도 옛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답사일 : 2018년 9월 7일 이제는 흔적만 남은 안양 유일의 국립기관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 480번지(

ngoanyang.or.kr

 

 

 

[20230226]국립수의학검역원 100년의 역사 현장(안양)

https://anyangbank.tistory.com/7467

 

[20230226]국립수의학검역원 100년의 역사 현장(안양)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의 발자취 제1장 살아있는 역사 현장 1. 본관 부조물 의술이 인류의 탄생과 함께 시작되었다면, 수의술은 인류가 짐승 길들이기 시작한 때부터 행하여 왔다고 전해진다. 멀리

ngoanyang.or.kr

 

 

 

[20230225]국립수의과학검역원 100년사(1909~2009) PDF파일 보기

https://anyangbank.tistory.com/7465

 

[20230225]국립수의과학검역원 100년사(1909~2009) PDF파일 보기

2023.02.25/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옛가축위생시험소 #100년사(1909~2009) 자료집(상.하권)/ 국립수의과학검역원 100년사를 발간하며 심유정/국립수의과학검역원 수의생명공학과 사서주사보(sims88@korea.k

ngoanyang.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