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사진기록 2228

[20240528]경기옛길 안양 인덕원(삼남길 1구간) 이정표 훼손

2024.05.22/ #도시기록 #에공 #안양/ 경기옛길(삼남길 1구간) 이정표 훼손. 안양 인덕원 관악대로 횡단보도(인덕원역 7번 출구앞)에 세워진 나무 말뚝에 부착됐던 경기옛길 표시 팻말이 사라짐, 안양시가 경기도 또는 경기옛길걷기 사업을 진행하는  경기문화예술재단에 알려 보수가 필요해 보인다.

[20240527]안양 만안경찰서 담벼락 덮기 시작한 담쟁이덩굴

2024.05.27/ #도시기록 #안양 #만안경찰서 #안양6동/ 마치 성같은 느낌의 만안경찰서 담바략을 뒤덮기 시작한 담쟁이덩굴. 2010년 마땅한 경찰서 부지를 찾지 못해 결국 산자락을 깎고 그 위에 건물을 지었다(2012년 6월1일). 주변에는 안양세무서, 만안시립도서관, 만안청소년수련관, 수리장애종합복지관, 만안평생교육센터, 안양시육아종합지원센터, 안양시장애인지원센터, 안양시장애인복합문화관 등이 있다.

[20240527]안양 아르테자이에서 본 특이한 색의 산딸나무

2024.05.26/ #도시기록 #꽃 #산딸나무 #안양/ 안양예술공원 입구 아르테자이 아파트 놀이터에서 특이한 색상의 산딸나무 꽃을 보다. 산딸나무 꽃이 하얗게 피면 나비가 앉아 있는 것 같기도 하고 학이 앉아 있는 모습처럼 보이기도 한다. 산딸나무 꽃은 네 장의 꽃잎이 마주보기로 붙어 있는 커다란 꽃이 수백 개씩 층층으로 피어 있다. 여러 가지 복잡한 색이 섞이지 않아 청순하고 깔끔하다는 느낌을 주는 꽃이다. 사실은 꽃잎이 아니고 잎이 변형된 포엽(苞葉)이란 것인데, 보통 사람들의 눈에는 꽃잎으로 착각할 정도로 변장술이 놀랍다.

[202400521]안양시스마트통합센터, 이강식 작가 화목(모자상)

2024.05.21/ #도시기록 #미술품 #조각/ 지난4월 개관한 안양시스마트통합센터에 설치된 미술품 이강식 작가의 화목(모자상)으로 제작년도는 1995년 12월 10일이다.  안양시 스마트도시통합센터는 지난 2009년부터 최근까지 안양시청 본관 7층에 위치해 있었다. 안양시는 디지털 혁신 대전환 시기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4차 산업 시대의 신기술 다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기 위해 동안구청 옆 부지에 지하 1층·지상 4층, 연면적 5753㎡ 규모로 센터를 신축해 4월17일 개관식을 가졌다.

[20240522]안양 스마트도시통합센터 건물 시설 돌아보다

2024.05.21/ #도시기록 #안양 #스마트도시통합센터/ 건물과 시설 돌아보다.안양시 스마트도시통합센터는 지난 2009년부터 최근까지 안양시청 본관 7층에 위치해 있었다. 안양시는 디지털 혁신 대전환 시기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4차 산업 시대의 신기술 다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기 위해 동안구청 옆 부지에 지하 1층·지상 4층, 연면적 5753㎡ 규모로 센터를 신축해 4월17일 개관식을 가졌다.

[20240522]안양 학의천 족제비싸리에 벌들 몰려든다

2024.05.22./ #도시기록 #생태 #안양 #족제비싸리 #학의천/ 곤충들 특히 요즈음 보기 드문 꿀벌들이 미칠 듯이 꼬여드는 족제비싸리를 안양 학의천에서 만나다.싸리나무에 왜 ‘족제비’ 이름이 붙었을까. 족제비싸리라는 이름은 꽃색이 움직임이 재빠른 동물인 족제비 몸 털색과 닮았고, 잎과 줄기에서 족제비처럼 고린내가 나고 꼬투리 모양이 족제비 꼬리와 닮은 데서 유래됐다고 한다. 족제비싸리 가지를 꺾어보면 중국 음식에서 나는 향신료 같기도 하고 비누향 같기도 한, 약간 구리고 느끼한 냄새가 특이하다. 족제비는 강한 적을 만나면 항문주위샘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는 분비물을 뿜으며 달아난다. 족제비싸리 줄기나 가지를 문지르면 족제비와 비슷한 고린내가 나고 이 냄새는 겨울이 오면 더욱 지독해진다는데 곤충들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