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옛사진읽기

[20240216]1964년의 안양 박달동 안양기계제작소(만도기계)

안양똑딱이 2024. 2. 16. 15:41

 

2024.02.16/ #아카이브 #옛사진 #현대양행 #안양기계제작소 #만도기계 #since1964/  안양 박달동에 자리했던 안양기계제작소(이후 만도기계)의 안내 표지판으로 한라그룹 50년 통사에 수록된 기록이다.

 

중공업진출을 위한 현대양행 출범(1962)

1964년 안양 박달동에 안양기계제작소 설립

 

1962년 무역업으로 출발한 현대양행(현 한라그룹)1964년 안양기계제작소를 건설하며 제조업에 본격 진출했다. 박달동에 있던 안양기계제작소에서는 양식기를 제조 수출했다. 이를 통해 부족하지만 기계공업과 해외사업에 대한 경험을 축적한 현대양행은 1969년 자동차부품 생산에 착수했다. 우리나라 자동차부품산업의 효시였다.

한라그룹 통사 기록을 보면 현대양행을 설립한 정인영 명예회장은 무역업과 현대건설의 해외 사업을 펼치며 기계 생산을 위한 사업구상을 구체화시켜 나갔다. 포부는 원대했으나 실천방법은 신중했

. 기술을 축적하고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단순 생산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더불어 수출이 가능한 품목이어야 했다 . 미흡하지만 기술 습득과 함께 세계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포석이었다.

정인영 명예회장은 일본 니카타현의 쓰마베라는 작은 도시를 방문했을 때 본 양식기공장을 떠올렸다. 거기에는 크고 작은 양식기공장들이 밀집해 있었는데 생산량의 대부분을 미주 와 유럽지역에 수출 하며 고소득을 창출하고 있었다. 양식기는 생산을 위해 낮은 수준이지만 기술이 필요했고 선진국에 수출까지 할 수 있는 품목이었다.

에 따라 정인영 명예회장은 현대양행 첫 제조품목으로 양식기를 선택했다. 현대양행은 1964313일 상공부에서 장기구상에 의한 양식기 제조 기계의 수입을 허가받은 데 이어 그해61일부터 경기도 시흥군 안양음 박달리 120번지에 안양기계제작소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그때만 해도 노선버스가 뽀얗게 먼지를 날리며 비포장도로를 몇 차례 왕복하는 시골이었지만 안양천을 끼고 있어 공장부지로 안성 및춤이었다.

안양기계제작소의 대지는 66115m2(2만 평)이었다. 양식기공장의 규모치고는 너무 큰 것 아니냐며 인근 마을 사람들뿐 아니라 공사 인부들까지 의아해 했다. 그러나 정인영 명예회장은 당장이 아니라 10년 후를 내다보며 대규모 공장을 계획하고 이를 실천에 옮겼다. 안양기계제작소는 공장 건설과 기계 설치를 끝내고 19641217일 가동에 들어갔다. 시작과 함께 1년후 수출 목표를 484000달러로 잡았다.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설비 투자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이듬해 봄부터는 양산체제에 돌입했다. 처음에는 테이블 용품인 스푼나이프포크 등을 생산했다. 아트라스(ATLAS)라는 자체상표로 현대양행은 미주뿐 아니라 유럽으로까지 수출국을 다변화해 나갔다. 세계 양식기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일본의 생산 방식은 소규모 가내수공업이었다. 이에 비해 현대양행의 안양기계제작소는 현대식 시설과 대규모 공장에서 대량 생산체제를 갖췄던 만큼 품질과 가격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었다. 수출량이 늘면서 직원도 곧 400명으로 증가했다. 양식기를 싣고 갈 선편이 부정기적이어서 그 일정에 맞추기 위해 야간작업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하지만 원재료인 스테인리스의 대부분을 일본에서 수입해야 했기 때문에 재무상태는 좋지 않았다. 대안으로 내수용 숟가락과 밥그릇 등을 생산하기로 했다. 당시까지도 우리나라는 놋쇠 식기가 대부분이었다. 스테인리스를 원료로 한 숟가락과 젓가락밥그릇 등은 가볍고 씻기 편리해 금세 인기를 얻었다.

이처럼 안양기계제작소의 가동이 활발해지면서 현대양행도 성장의 발걸음을 재촉했다. 196631일 현대양행은 상공부로부터 전문계열화 및 수출지정 업체로 지정받았다. 이는 더욱 적극적으로 경영 활로를 모색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했다. 이듬해인 19671228일에는 자본금을 1100만 원으로 증자했다. 이를 통해 안양기계제작소의 시설을 증설해 생산활동을 뒷받침하는 한편 성장에 따른 경영내실화를 도모했다.

 

안양공장, 자동차부품 제조 착수

 

1.자동차부품 제조사업진출

 

정인영 명예회장이 현대양행을 창업한 목적은 기계공업을 비롯한 중공업으로의 진출을 통해 산업보국을 이루기 위함이었다. 무역업과 양식기 사업은 이를 위한 경험 축적과 사업적 토대였다. 때문에 현대건설이 추진하는 해외 사업과 현대양행의 수출선을 개척하기 위해 외국에 나갈때마다 정인영 명예회장은 세계의 기계공업 추이를 세심하게 살폈다. 그결과 자동차산업과 중공업이 미래의 산업을 이끌어 갈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와 때를 같이해 현대건설이 미국의 포드사와 자동차 조립 기술제휴 협상에 나섰다. 포드사는 한국 진출을 위해 파트너를 물색하고 있던 참이었다. 정인영 명예회장은 포드사와 접촉해 현대건설의 자동차산업에 대한 관심과 조건을 내세워 설득하는 임무를 맡았다. 당시까지 현 대건설은 자동차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지만 196612월 현대자동차()를 세우고 자동차 생산시장에 뛰어들었다. 그리고 19672월 마침내 포드사와 자동차 조립 기술제휴 계약을 체결했다. 그렇게 하여 탄생한 것이 코티나였다.

정인영 명예회장은 현대자동차의 설립과 포드사와의 기술제휴 협상을 주도하며 자동차산업의 핵심은 부품에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실감했다. 자동차 조립은 엄밀하게 말하면 생산기술이라 할 수 없고 부품 국산화를 이뤄야만 자동차공업의 국내 정착이 가능하다는 신념을 굳혔다. 더구나 당시 국내에는 자동차부품 업체가 전무했다. 현대자동차에서도 코티나를 현대양행에 보내 부품 연구를 요청했다. 1968년 봄 정인영 명예회장은 이종영 공장장최계열 부장백병철 부장 등 간부들에게 자동차부품 개발을 위한 준비를 지시했다.

우선 양식기 생산을 위해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프레스와 금형제조 설비를 활용할 수 있는 자동차부품을 생산하기로 했다. 히터박스(Heaterbox)훨캡(Wheel Cap), 자동차 그릴(Grill), 그리고 클러치페달(Clutch Pedal), 와이어하네스(Wire Harness) 등의 생산을 모색했다.

1969년 들어 기존에 생산하던 양식기보다 자동차부품 생산에 주력했다. 양식기 생산라인은 자동차부품 생산라인으로 바뀌어갔다. 국내 최대인 1200톤 프레스를 일본에서 도입설치하면서 공장은 더욱 활기를 띠었다. 사이드멤버(Side Member), 크로스멤버(Cross Member), 퓨얼탱크(Fuel Tank) 등 프레스 부품들과 히터(Heater), 엔진 라디에이터(Engine Radiator)와 같은 기능 부품들로 제품선을 확대했다. 1972년에는 포드의 영국 공장으로 크로스멤버를 납품하기도 했다. 이에 앞서 1970년에는 난방용 라디에이터를 생산해 서울 여의도 시범아파트에 납품했다.

 

2. 기술제휴를 통한 자동차부품 국산화

현대양행은 프레스 부품과 기능 부품을 생산하는 동시에 그때까지 수입에 의지해오던 자동차부품의 연차적 국산화를 추진했다. 본격적 부품 기술은 전장품(S)과 속업 소버(Shock Absorber), 에어컨 등이었다. 정인영 명예회장은 현대양행 간부들에게 해외 유수의 자동차공업 현장을 돌아보도록 하는 한편 기술제휴선을 찾아 나섰다. 당시 전장품쇽업소버 기술은 영국이 가장 앞서 있었다. 전장품은 루카스사쇽업소버는 암스트롱사에 기술제휴를 타진했다.

그런데 루카스사암스트롱사 모두 상당한 기술료를 요구했다. 자신들의 기술에 대한 지나친 자신감과 자동차 부품 기술 이전에 대한 경계심 때문이었다.

정인영 명예회장은 기술제휴선을 일본 쪽으로 선회했다. 도키코사와 미쓰비시사를 대상으로 각각 속업소버와 전장품 기술제휴를 협의했다. 당시 일본도 영국으로부터 도입한 기술을 축적하고 있던 시기였다. 때문에 양사가 힘을 합친다면 기술 면에서 영국을 앞지를 수 있지 않겠냐는 정인영 명예회장의 말은 설득력을 얻었다. 그리하여 현대양행은 19702월 일본 도키코사와 쇽업소버 등 경차부품 생산을 위한 기술제휴를 체결했다. 이어 그해 4월에는 미쓰비시사와 기술제휴를 체결하고 스타트모터(Start Motor), 얼터네이터(Alternator), 디스트리뷰터 (Distributor) 등의 생산을 개시했다. 미쓰비시사와는 루카스사가 요구한 기술료의 10분의 1 수준인 3만 달러에 기술제휴를 체결했다. 이에 앞서 19703월에는 미국의 미첼사와 기술제퓨를 체결하고 카쿨러 (Car Cooler) 생산을 개시했다. 이처럼 기술제휴를 통한 끊임없는 기술개발 결과 현대양행은 1972년 전장품과 경차부품의 완전 국산화에 성공했다. 전장품은 스타트모터얼터네이터와이퍼모터(Wiper Motor), 레귤레이터(Regulator)(Horn), 이그니션코일(Ignition Coil) 등이었다. 경차부품은 속업소버서스펜션스트러트(Suspension Strut), 엔진 라디에이터 히터난방용 라디에이터를 국산화했다.

현대양행 안양공장은 자동차부품의 국산화를 주도하며 한국 자동차공업 발전의 선구자적 역할을 담당했다. 뿐만 아니라 안양공장은 양식기에서 자동차부품으로 생산품목을 완전히 전환하며 회사 발전의 초석을 마련했다.

현대양행은 양식기 생산라인을 자동차부품 생산라인으로 꿈꾸고 1969년부터 자동차부품 생산을 본격화했다.

 

한라그룹 50년사\ 1편 한국 중공업의 씨앗을 뿌리다(1962-1979)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