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옛지도읽기

[20251023]1913년 최신조선전도 安陽, 軍浦場, 富谷 표기

안양똑딱이 2025. 10. 23. 17:28

 

2025.10.23/ #아카이브 #옛지도 #최신조선전도 #since1913 #부곡 #의왕 #안양 #군포 # 安陽 #軍浦場 #富谷

 

이 지도는 1913발행한 최신조선전도 지도로 경부선 철도역으로 안양(安陽)과 군포장(軍浦場), 부곡(富谷)이 표기돼 있다.

지도  좌측에 만주국, 우측에 마산, 목포,경성, 인천, 원산, 아래쪽으로는 평양 시가지 지도가 수록돼 있다.

 

부곡역은 1944년 용산역 인근에 있던 철도기지창 기능의 일부가 의왕으로 이전해 오면서 철도 관련 인력의 통근 편의를 위해 신설된 역이다. 기록을 보면 부곡역사는 1944년 준공해 1971년 철거했다. 1910년댗지도에 부곡이 표기됐을을 볼때 역사는 없고 역명만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1944년 부곡역 개업과 함께 철도 관련 인력이 거주할 철도 관사가 일왕면 삼리 일대에 조성되었고, 오늘날 부곡이라 불리는 역 동편 시가지(현 의왕시 부곡동)는 이 철도관사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그래서 삼리와 인근 이리, 월암리 등은 당시 기준으로 엄밀히 따지면 부곡이 아니었지만 관습적으로 시가지 조성의 계기가 된 역 이름을 따 부곡이라 불렸다. 그리고 1989년 의왕시 승격과 함께 삼동, 이동, 월암동, 초평동을 아우르는 행정동 부곡동이 설치되면서 별명에서 공식 지명이 되었다.

 

이후 2004625일 의왕시에서 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역명을 '의왕역'으로 개명하였다. 역명 변경에 따른 비용(역명판 변경 등)은 의왕시에서 부담했다. 그리고 2007220일에 의왕의 한자명을 변경함에 따라 한자역명도 儀旺에서 義王으로 같이 변경되었다.

 

안양의 한자 표기를 보면 시기에 따라 安養(편안할안에 기를양),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으로 표기돼 왔는데 일반적으로 1915년 이전에는 安陽, 1920년 이후에는 安養으로 표기됐다. 하지만  지도 표기를 보면 1910년 이전에도 安養이라 표기하기도 했다

 

지도  좌측에 만주국, 우측에 마산, 목포,경성, 인천, 원산, 아래쪽으로는 평양 시가지 지도가 수록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