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옛지도읽기

[안양권지도]1872년 시흥현지도-안양권(始興縣地圖,규10368)

안양똑딱이 2016. 8. 6. 17:05

 

지금의 시흥시가 100년 역사의 시흥을 외치며 과거 시흥군을 잇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1872년에 제작한 시흥현 지방지도를 보면 사실 지금의 서울 금천구가 조선시대 시흥현의 중심으로 시흥군의 뿌리였음이 보여준다. 
1872년 시흥현지도(始興縣地圖)에 표기된 시흥현은 대략 지금의 서울 금천구, 구로구, 영등포구, 관악구, 광명시, 안양 만안구 정도에 해당되는데 전체적으로 글 위주로 다른 지도처럼 산 외에 그림 표시를 거의 하지 않았다.

1872년 과천지도와 같이 관악산을 주산으로 여기는데, 관악산이 읍치의 동쪽에 위치하지만 지도상 북쪽으로 표현되어 있다. 왼쪽 아래가 한강이다. 관악산 왼쪽에 그려진 하천은 도림천인데 오른쪽에 그려놓은 안양천과 합류하여 한강으로 들어간다. 영등포는 한강가의 작은 포구취락으로 그려져 있다.
관악산 아래 그려진 삼성산(三聖山)이 진산이다. 삼막사(三幕寺), 성주암(聖住菴), 호압사(虎壓寺) 등의 사찰이 보인다. 신림리, 봉천리, 상도리, 난곡리, 가리봉, 독산리, 구로리, 당산리, 영등포, 선유봉, 철산리, 광명리, 일직리, 안양리, 박달리 등은 지금도 그대로 쓰이는 지명이다.
성주암 아래 자하동(紫霞洞)이 보인다. 관악산 호수공원에 조선후기 인물인 자하 신위(紫霞 申緯)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자하동 지명을 따서 서울대 안 연못을 자하연이라 부른다.

지도 중앙부의 읍치(邑治)에는 행궁(行宮), 객사(客舍), 향교(鄕校) 등을 표시하였다. 지금의 금천구 시흥동 은행나무 사거리 근처로 오래된 은행나무가 옛 고을이었음을 알려 주고 있다. 그래서 시흥은 일명 ‘은행고을’이라고도 하였다. 읍 앞의 店幕이라 표시된 주막촌을 지나가는 길은 정조대왕이 헌륭원 행차 때 이용한 대로이며, 행차 때는 한강 노량진에 배다리를 띄우는 외에, 작은 내에는 돌다리를 만들어 놓았다.
지도 왼쪽에 노량진(露梁津)이 보이고 그 옆에는 장생현(長牲峴, 장승배기)을 표시하였다. 화성으로 자주 능행차를 나서던 정조는 지금의 동작구 상도동쯤에 이르러 주변이 너무 한적해서 겁이 난 행인들을 안심시키기 위해서 장승을 한 쌍 세우게 하였다. 그것이 지금 대방장승이 자리잡은 장승백이의 유래인데, 지도상의 長牲峴이다.

지도 오른쪽에는 만안교(萬安橋)를 그렸다. 만안교는 정조가 노량진, 장승배기, 시흥 읍치, 안양과 수원 화성으로 연결하는 길에 건설한 대표적인 석축교였는데  1980년대 안양시가 국도 확장을 이유로 북쪽 200여미터 지점의 삼막천으로 이전 복원해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추락시켜 아쉬움를 주고 있다.

시흥현은 고려 초에는 금주(衿州), 조선 태종대에는 과천과 합하여 금과현(衿果縣), 양천과 합하여 금양현(衿陽縣)으로 불리기도 했다. 태종 16년(1416)부터 금천현(衿川縣)으로 불렀다가 정조 19년(1795)부터 시흥현(始興縣)이 되었다.
경기도 시흥시가 아니라 서울시 금천구 시흥동이 중심부였다. 금천구는 1995년에 구로구에서 분리되어 생겼다. 경기도에 시흥시가 있으니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정조 이전의 지명인 금천을 사용한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경기도에 속했는데 영등포 주변 지역은 1936년에 처음 경성부에 속하였고 대부분 지역은 1963년이 되어서야 서울시에 편입되었다. 1973년에 시흥군 안양면이 경기도 안양시가 되었고 영등포구에서 관악구가 분리되었다. 1980년에 영등포구에서 구로구가 분리되고, 1981년에 경기도 광명시가 생겼다.

한편 임란, 호란의 양란을 겪은 조선사회는 18세기 영·정조대에 이르러 부흥기를 맞이하게 된다. 각종의 문물 제도가 정비되고 사회적으로 안정되면서 중심 산업인 농업부문의 생산력이 높아지고 이와 더불어 상품유통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특히 이 시기는 실학을 비롯한 학문뿐만 아니라 문학·예술부분에서도 많은 성과들이 축적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지도제작에서도 이 시기는 최고의 전성기였다.

그러나 19세기로 넘어가면서 조선사회는 세도정치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더불어 三政의 문란 등으로 민생의 안정이 위협받게 되었다. 관료사회의 부패는 정상적인 국가 정책의 집행을 더욱 어렵게 만들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집권한 흥선대원군은 과감한 개혁을 추진하게 된다. 그는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外戚의 세도정치를 일소하고 당쟁을 타파하며, 군제를 정비하고 재정을 확보하기 위한 각종 개혁 정책을 추진한다.

특히 두 차례의 洋擾를 겪으면서 서양의 침략에 적극적인 대응책을 모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국방과 치안을 위한 관제 개정, 軍制의 개편, 군사시설의 확충과 경비의 강화, 軍器의 정비와 실험 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지방의 실정 파악은 시급한 과제였고 이를 위해 1871년에는 전국적인 邑誌 편찬사업을, 이듬해인 1782년에는 전국적인 차원의 지도제작 사업을 추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는 조선시대 官撰地圖 제작사업의 마지막 성과로 평가되는 1872년 지방지도가 소장되어 있는데 총 459매이다. 이 때 제작된 지도들은 郡縣지도뿐만 아니라 營·鎭堡·牧場·山城 등을 그린 지도까지 포함하고 있어서 한 시기에 제작되어 收合된 지방지도로는 가장 많은 양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 지도는 1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시간에 제작되어 收合되었기 때문에 통일적인 제작 원칙 하에 체계적으로 그려지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전 시기의 지도보다 큰 규격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지도에 들어있는 정보량은 현재 남아 있는 다른 郡縣地圖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풍부한 편이다.

 

출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main.do?siteCd=KYU

 

지도 크게 보기: http://kyujanggak.snu.ac.kr/geo/common/pop_image.jsp?path=/geo/data/mapimg/160420141819_725_1872.jpg

 

과거와 현재 지명 비교 보기: http://kyudb.snu.ac.kr/pf01/rendererImg.do?item_cd=GZD&book_cd=GM99999_00&vol_no=0000&page_no=0027&imgFileNm=KYKH001_0000_002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