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원]안양시 의심지명에 대한 小考(2020.12.20)
안양시 의심지명에 대한 小考
고대 안양은 해양문화의 배후지역으로 내륙으로 들어가는 교두보배후 마을이다.
산이 많아 하천이 많고, 골과 고개가 많고, 범이 많았다.
벌은 고대전투지역이나 주변에 군사시설이 산재한다.
해양문화-미추홀 소래포구 배후지로 초기고구려유민 유입하였다. 망해암 삼성산 한천(한내) 샛강
산- 범고개 호계등
지명은 지형에서 나온다.
1905년 청일전쟁시 지도참고 1917년지도 참고 1974년지도 참고
*매곡동 (梅谷洞-구시흥군 반포동에도 있던 마을명 산봉우리 다섯이 매화꽃잎 처럼 솟은 가운대 이루어진 마을인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서울지명사전) 한자어로 추정
*뺌말-빼어난 말 수촌(秀村)빼어날수 ( 水村? ) 현대에 한문을 사용치 않으므로 의심이 될 경우 앞으로 한자표기에(秀村) 사용을 공표할 수 있다.
*남부(동)-1) 어떤 지역의 남쪽부분 2)<역사>조선 때, 5 부(부)로 나누었던 서울안구역의 남쪽. 에센스국어사전476p 이희승감수 안양읍 시대에는 남부동 남측을 안양8리라고 하였다.
*북부(동)-북쪽의 부분 ~북부지방 에센스국어사전1173p 이희승감수
문화과에서 보내준 4건 자료 번지와 지명이 불일치 하다.
기타
安陽-대한제국 1905년 경부선 안양역표기
安養-일본강점후사용 1917년 지도에 표기
볕양과 기를양이 번가라 사용
鳥山-1917년 지도에 사용. 한국어 울밑산
육교-한국어 구름다리
*새안양회는 ‘우리동네 옛날이름 찾아오기’ 2019 캠페인에서 예쁜이름으로 시대동 교화동 냉천동 주접동 북부동 장내동 남부동등을 정겨운 이름으로 열거하였다.
2020.12.20
글 최승원
국립중앙박물관 평의원
홍익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전겸임교수
김중업건축박물관 안양박물관 운영위원장역입
앙가주망건축사사무소 건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