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2017 한국에서 발행한 거꾸로 세계지도

1569년 네덜란드의 메르카토르(Mercator)는 역사상 최초로 세계지도를 만들었다. 지도의 '주요고객'을 위해 갈수록 거대하게 그려지는 유럽과 북미는 그래서 지도의 중심부를 차지한다.
그런데 1979년 세계를 거꾸로 보기 시작했다. 세계 최초로 맥아더(오스트레일리아)가 남쪽을 위로「개정 범세계지도」발간했다.
국내에서는 독립운동가이자 지리교사 김교신(1901 ~ 1945) 선생이 세계지도를 거꾸로 하여 당시 조선인들에게 우리 나라 지리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꿈을 심어주었으며 1996년에는 우리나라 길광수 박사가 고안한 세계지도가 처음 제작했다.
(관련글 반크. 2019. 4. 11)
발상의 전환 - 여러분은 세계지도를 뒤집어서 본 적이 있나요?
https://blog.naver.com/vank1999/221511308355



사이버민간외교사절단 반크는 2010년 12월 7일 공식 트위터에 한국이 세계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고 있는 ‘거꾸로 보는 세계지도’를 처음 공개했다.
사이버민간외교사절단 반크가 처음 배포한 ‘생각의 전환으로 대한민국을 알려라’는 제목의 이 지도에는 한국의 비빔밥, 삼계탕과 인삼 등 전통음식과 직지, 첨성대, 봉산탈춤, 강강술래 등 유·무형 문화재가 세계 곳곳으로 퍼져 나가는 모습이 담겼다.
반크는 트위터에서 “이 지도는 이번 ‘반크-김장훈 부산 콘서트’에 오신 모든 분들에게 선물로 드렸다”라며 “반크 회원에게 배포해 우리나라를 잘 알려 나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반크는 이 지도에 대해 “기존의 세계지도에서 한국은 유럽과 아시아 대륙에 짓눌린 형태로 보이지만 세계지도를 뒤집어보면 한국은 태평양을 향해 솟구쳐 올라가는 듯 힘찬 기운이 느껴진다”고 설명했다.
또 “기존의 한국지도에서는 한국의 해양 영토가 제대로 보이지 않지만 한국의 해양 영토는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거대하다”라며 “대한민국은 세계인의 생각 이상으로 더 큰 가능성의 나라”라고 평가했다.
반크는 특히 중국과 일본은 자국의 국가브랜드를 해외에 알리기 위해 수조 원의 비용을 투자하고 있고 외교관 또한 한국과는 비교가 안 될 만큼 세계 곳곳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국 청년의 창의적인 생각은 저평가된 한국의 국가 브랜드를 세계 최고의 국가 브랜드로 전환하고 세계 문화의 변방 취급을 받고 있는 한국을 세계 문화의 중심축으로 역전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크는 한걸음 더 나아가 ‘해양문화대국 대한민국’이라는 한국의 비전을 전세계에 알리고, 한국 젊은이들이 한국의 바다 영토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 ‘거꾸로 세계지도' 디지털 포스터 2종을 제작했다.
반크는 대한민국 헌법 제3조를 현재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에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를 포함하는 해양 영토’로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반크가 제작한 거꾸로 세계지도 포스터에서 세계지도를 거꾸로 보면, 대한민국이 유라시아 대륙의 끝이 아닌 태평양 바다의 시작임을 강조한다.
또한 발상을 전환하면 대한민국은 대륙길의 끝에 위치한것이 아닌 바닷길의 시작임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반크는 해양문화대국 대한민국이 전세계로 나아가는 항구임을 강조한다.
포스터에는 해양영토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서해의 격렬비열도, 동해의 독도, 남해의 이어도, 7광구, 안용복 해산등도 표시했다




2017년 8월에는 우리나라 해양수산부가 「거꾸로 세계지도」를 제작‧배포하기 시작했다.
거꾸로 세계지도(거꾸로 보면 새로운 세계가 열립니다!)
2017년 8월 해양수산부 「거꾸로 세계지도」제작‧배포
□ 추진경위
ㅇ 대통령, 해양강국에 대한 강력한 의지 표명(바다의 날 행사 등)
* 대륙으로 가는 길은 현재 막혀있으니 우선은 바다로 가는게 우리 미래 비전,
관공서에 뒤집은 지도도 함께 붙여 정책 균형('17.6.16. 해양수산부장관 임명시)
ㅇ 해양수산부장관, ‘거꾸로 지도론’으로 해양강국 열겠다는 취임 인터뷰
* 거꾸로 바다를 바라보고, 바다를 통해 세계를 바라보면 대한민국의 미래가 바다에 있다.
('17.6월)
⇨ 글로벌 해양강국 도약 및 바다의 무한한 가능성에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거꾸로 세계지도」제작‧배포 추진
<거꾸로 세계지도 연혁>
ㅇ (최초, 1979년) 맥아더(오스트레일리아)가 남쪽을 위로「개정 범세계지도」발간
ㅇ (우리, 1996년) 해양국가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길광수 박사가 고안
□ 「거꾸로 세계지도」 주요내용
ㅇ 우리나라 위쪽에 넓은 바다가펼쳐져 바다로 뻗어나가는 한반도의 진취적인 기상을 느낄 수 있어, 대륙지향에서 해양지향으로 우리의 인식과 관점의 대전환을 유도
ㅇ 우리나라는 대륙의 끝에 위치한 반도국가라기 보다는, 중국, 러시아를 배후지로 하여 해양으로 나가는 부두모양의 형태를 띤 국가로서, 해양진출에 있어 천혜의 요충지임이 확인
ㅇ 지도상에 우리나라 해양진출의 구체적 성과물인 해운항로, 원양어업기지, 극지항로, 남‧북극 과학기지 등을 표기하여 우리나라의 글로벌 수준의 해양력을 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