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알퐁소자료
[20251106]1994년 가입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 회원증서
안양똑딱이
2025. 11. 6. 16:41

2023.11.06/ #기록 #흔적 #박스속자료 #우리밀 #회원증 #오래된것 #sine1994/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 회원증서. 오래된 박스를 열어보고 옛 수첩들을 뒤적이다 니온 옛자료.
1982년 밀 수입 자유화, 1984년 국산 밀 수매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1970년대만 해도 15% 정도를 유지했던 밀 자급률이 1990년에는 0.05%까지 떨어져 사실상 우리 밀 농업은 사망 상태에 이르렀다.
1984년 밀 수매 폐지 이후 2007~2008년 세계 곡물파동이 있기까지 농림부 정책에서 ‘밀’은 등장하지 않는다.
정부의 외면 속에서 그대로 씨가 마를 뻔했던 우리 밀은 1989년 가톨릭농민회와 한살림이 손을 잡고 경남 고성군 두호마을의 24개 농가 1만500평에 우리 밀 씨를 뿌리면서 다시 싹을 틔우기 시작했다.
그해에 심은 밀 씨로 이듬해 227가마를 거두었다. 이것을 한살림에서 모두 수매해 소비자조합원들에게 공급한 것이 우리 밀 살리기 운동의 시작이다. 이후 16만 명, 36억 원의 성금이 모아져 우리 밀 살리기 운동은 전국으로 번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