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뉴스/정보

[20221212]교수신문 선정 올해 사자성어 '과이불개(過而不改)'

안양똑딱이 2022. 12. 12. 08:53

교수들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과이불개’를 선정했다.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이다.

교수신문은 전국 대학교수 9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2022 올해의 사자성어로 50.9%를 득표한 ‘과이불개(過而不改)’가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과이불개’는 논어 위령공편에 등장하는 말이다. 공자는 ‘과이불개 시위과의(過而不改 是謂過矣)’, 즉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고 한다’고 했다. 과이불개는 조선왕조실록에도 여러 번 나오는데, 연산군이 소인(임사홍 등의 간신을 지칭)을 쓰는 것에 대해 신료들이 반대했지만 고치지 않는다는 점을 비판하는 대목 등에서 언급된다.

과이불개를 추천한 박현모 여주대학교 교수는 “지도층 인사들의 정형화된 언행을 잘 보여주는 말”이라며 “잘못이 드러나면 이전 정부, 야당 탓만 하고 고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태원 참사와 같은 후진국형 사고가 발생해도 책임지려는 정치인이 나오지 않고 있다”고 했다.

박 교수는 과이불개를 추천한 또 다른 이유로 “잘못을 고친 사례가 우리 역사 속에 있었는지 궁금했기 때문”이라며 “성군으로 알려진 세종 역시 잘못해서 후회한다고 말한 기록이 10여 차례 나온다”고 했다. 이어 “잘못을 고치거나 처벌받기는커녕 인정하지도 않는 지금 우리는 어떻게 진노해야 하는가”라고 했다.

과이불개를 고른 다른 교수들도 한국 사회에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잘못”이 있다는 의견이다. A 교수는 “이념진영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순간 패배자 내지 피해자가 될 것 같다는 강박에 일단 우기고 보는 풍조가 만연한 듯하다”고 했다. B 교수는 “‘남 탓보다는 제 탓하기’가 필요하다”고 했다.

설문조사에서는 과이불개 외에 ‘덮으려고 하면 더욱 드러난다’는 뜻의 ‘욕개미창(欲蓋彌彰)’이 14.7%, ‘여러 알을 쌓아 놓은 듯한 위태로움’을 뜻하는 ’누란지위(累卵之危)‘가 13.8%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에는 ‘고양이와 쥐가 한패가 됐다’는 뜻의 ‘묘서동처(猫鼠同處)’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됐다.

출처 : 교수신문(http://www.kyosu.net)

 

교수신문

교수신문

www.kyosu.net

 

역대 '올해의 사자성어'

▲2021년 묘서동처(猫鼠同處)

▲2020년 아시타비(我是他非)

▲2019년 공명지조(共命之鳥)

▲2018년 임중도원(任重道遠)

▲2017년 파사현정(破邪顯正)

▲2016년 군주민수(君舟民水)

▲2015년 혼용무도(昏庸無道)

▲2014년 거세개탁(擧世皆濁)
▲2013년 도행역기(倒行逆施)
▲2012년 거세개탁(擧世皆濁)
▲2011년 엄이도종(掩耳盜鐘)
▲2010년 장두노미(藏頭露尾)
▲2009년 방기곡경(旁岐曲逕)
▲2008년 호질기의(護疾忌醫)
▲2007년 자기기인(自欺欺人)
▲2006년 밀운불우(密雲不雨)
▲2005년 상화하택(上火下澤)
▲2004년 당동벌이(黨同伐異)
▲2003년 우왕좌왕(右往左往)
▲2002년 이합집산(離合集散)
▲2001년 오리무중(五里霧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