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영상기록/안양

[안양]안양 도심속 왕개미 제국-7편(2018.06.08)

안양똑딱이 2018. 6. 24. 01:11

 

안양 도심속 왕개미 제국 7편
byung-ryul choi
게시일: 2018. 6. 8.
유튜브 영상 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ST96tWpZL9c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에 자리한  도심 정원(구 농림축산검역본부)에는 오랜 검역원의 역사를 지켜본 마치 정원을 지키는 수호신같은 수령 100년이 훌쩍넘는 느티나무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나무를 근거지 삼아 엄청난 수의 왕개비들이 정원 지하에 땅속 제국을 이루어 살고 있는데 정원내 돌 경계석을 연결하는 수많은 틈새의 구멍은 지하 제국으로 연결되는 통로이고, 돌 경계석은 정원내 곳곳을 연결하는 개미들의 고속도로라 할수 있지요.
6월 8일 늦은 밤. 마실길에  들린 정원내 개미 제국의 풍경은 낮보다 더 분주한 모습입니다. 개미들의 고속도로인 돌 경계석위로 개미들이 바쁘게 오가고 한쪽 개미굴 입구에서는 제국내 굴을 더 확장이라도 하듯 굴밖으로 흙을 퍼내는 모습도 보입니다.

 

안양 도심 왕개미 제국 소개

 

안양시 안양6동에 자리한 구 농림축산검역본부. 일제 때인 1942년 이곳에 터를 잡은 조선총독부 가축위생연구소 지소에서 출발해 이름만 바뀌면서 이어져오다 정부 기관이 김천으로 이전함에 따라 안양시가 매입해 개발을 앞두고 있는 이곳 정문옆 정원 땅밑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개미제국이 있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란 명칭으로 친숙한 이곳 정원에는 수령이 50년은 넘는 듯한 아름드리 벚나무들과 지름이 1m가 넘는 100년은 넘은직한 거대한 버드나무가 있는데 정원 경계석과 경계석 사이의 수많은 틈새들을 출입구 삼아 드나드는 커다란 왕개미들이 살고 있다.
검역원 정원이 개미 초군체임을 처음으로 확인한 이는 ‘개미제국의 발견’이라는 책을 낸 최재천 국립생태원장이다. 최 원장은 국립생태원에 전시할 열대개미 검역 문제로 축산검역본부를 찾았다가 휴식 중 정원에서 범상치 않는 개미떼를 발견, 국립생태원 생태진화연구부 연구팀에 정밀조사를 지시했다.
그 결과 검역원 본관앞 정원 벚나무와 버드나무 아래에 본거지를 둔 개미 種의 개체수가 자그만치 1천만 마리는 되는 초군체超群體(supercolony)로서, 7천여 제곱이나 되는 면적의 정원이 그들의 서식지로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견된 개미 제국 가운데에는 제일 큰 제국이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유전자 분석으로 거대한 개미 서식지가 이곳에 자리 잡은 것은 적어도 50년 전에 결혼비행을 마치고 정착한 한마리의 여왕개미로부터 출발한 한 가족일 가능성이 크며, 2만~3만 마리 규모로 알려진 왕개미들이 일반 군체 크기의 수백배인 1천만 마리 이상의 초군체로 형성돼 있을 것이라 추정했다.
왕개미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개미 120종 가운데 가장 큰 종으로, 몸길이가 최대 15㎜에 이르며 인가 주변과 공원, 산지의 건조한 풀밭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개미제국이 크게 번성하여 개미 인구 1천만의 초왕국을 건설할 수 있었던 것도 주변에 말벌이나 다른 이종 개미군단이 없는 지리적 이점이 있었던 것 같고 서식지 공간에는 오래된 아름드리 벚나무들이 자라고 있어 이 나무들에서 기생하는 개미 먹이인 털진딧물이 많아 식량 문제도 어렵잖게 해결되었을 것이다.
최재천 국립생태원장은 한 언론에서 “농림축산검역본부 정원은 서식하는 개미 군체의 규모가 거대할 뿐 아니라 개미들이 마치 화단 경계석을 고속도로로 이용하는 것처럼 경계석을 따라 움직이고 있어 개미를 관찰하고 연구·교육하기에 아주 적합한 곳”이라며 “이곳의 개미 군체들을 잘 보존한다면 전체 생태계의 물질 순환을 그대로 보여주는, 우리나라는 물론 국외에서도 보기 힘든 생태 교육·전시의 명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 생태원의 개미 연구팀과 개미학자 장용준 연구원의 연구로 국내에서 발견된 개미 군락으로는 최대 규모인 이 왕개미 군락 역시 여러 작은 소왕국들이 연합해 만들어진 개미제국인 게 분명해 보인다.
다행히 이 공간을 매입한 안양시가 왕개미 제국이 자리한 정원을 최대한 보전하고 바로 옆에 개미 생태 체험관도 만들어 활용하는 계획을 내비쳐 잘 진행되면 멋진 개미 생태전시관이 생겨 흥미로운 볼거리와 함께 생태 교육을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한편 최재천 박사의 글에 의하면 이곳에 사는 개미는 그동안 일본왕개미로 불렸다. 아마 일제강점기에 국제학회에 등재했을 것으로 인식했기 때문 아닌가 싶다. 하지만 탁월한 개미학자 장용준이 고려대 석사 논문에서 그보다 선행된 이름이 왕개미였다는 사실을 문헌 조사를 통해 밝혀냈다. 이 땅에서 제일 흔한 개미 중의 하나를 번번이 일본이라는 명칭을 붙여 불러야 하는 굴욕을 깔끔하게 정리해 준 쾌거라 할 수 있다.